2025년 5월 16일 (금)
[칼럼] 젊은층 발바닥, 발뒤꿈치 통증 증가...'족저근막염' 주의

[칼럼] 젊은층 발바닥, 발뒤꿈치 통증 증가...'족저근막염' 주의

기사승인 2020-06-18 10:21:10 업데이트 2020-06-18 10:21:38
사진=이두연 원장, 새움병원 제공

족저근막은 발의 바닥에 넓게 퍼져 있는 두껍고 강한 섬유띠로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해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가지를 내어 발가락 기저 부위에 붙어 있다. 여기에 미세 손상을 입어 근막의 탄성이 감소하고 조직이 변성되어 염증이 발생한 것을 족저근막염이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족저근막염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10년 9만1천명에서 2014년 17만9천명으로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1.4배 많았다.

족저근막염은 다양한 원인으로 생길 수 있으며 오래 서 있는 직업군과 장시간 보행한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그 외에 평발이나 요족, 뒤꿈치뼈의 변형 등의 해부학적 요인, 평소 몸이 뻣뻣한 사람에게 발생 가능성이 높다.

보통 근막이 퇴행성 변화를 겪는 3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하는데, 하이힐 등의 높은 굽을 신거나 충격 흡수가 낮은 플랫슈즈를 신음으로써 최근 20대 젊은 층에서도 많이 발병하고 있다. 남성 또한 적절치 못한 신발 사용으로 인해 족저근막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다양한 치료법이 있으나 무엇보다 우선 시 되어야 할 것은 정확한 진단이다. 족저근막염은 오진도 많은 질환이기에 정확한 진단 후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족저근막염의 주요 증상은 아침에 자고 일어나 첫 발을 내딛을 때 통증이 나타난다. 증세가 악화되면 발 전체로 통증이 생기고 오래 서 있거나 걸을 때 증세가 심해지니 증상이 있다면 전문의 진료 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는 약물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마사지의 방법이 있다. 직업, 평소의 활동이나 습관, 건강상태 등을 파악하여 족저근막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하지 않게끔 노력하고 체중 부하 활동을 줄이도록 한다. 또한, 아킬레스건 스트레칭, 족저근막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어 유연성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글. 새움병원 이두연 원장

김영보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자연이 교과서, 미래가 교실…양천구 ‘그린스쿨링’ 실험

“멸종위기 생물 손수건 만들기 체험을 하면서 멸종위기 동물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됐어요. 지구를 지키기 위해 재활용을 더 열심히 할 거예요” (길산초 6학년 김모양)기후위기 시대, 미래세대가 마주할 환경 문제를 교실 밖으로 끌어내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16일 서울 양천구청 일대에서 열린 ‘Y교육박람회 2025’ 현장. 쏟아지는 소나기도 아이들의 호기심을 꺾지는 못했다. 학생들은 이른 오후까지 이어진 빗줄기에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