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
‘꼰대’ 무시하는 ‘역꼰대’ 있다

‘꼰대’ 무시하는 ‘역꼰대’ 있다

성인남녀 10명 중 4명 "주변서 역꼰대 경험" 응답
1위는 "내 생각만 맞다"... 타인 동의 강요하는 '답정너’
“나이든 세대는 구식... 선입견이 역꼰대 키워”

기사승인 2021-07-19 09:45:47 업데이트 2021-07-19 12:38:53
사람인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꼰대’는 구태의연한 사고 방식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직장 상사나 나이 많은 사람을 가리킨다. ‘꼰대’를 거스르는 ‘역꼰대’가 등장했다. 

최근 자기 표현이 강한 MZ세대 중 ‘역꼰대’들이 보고되고 있다. ‘역꼰대’는 꼭 필요한 조언, 과오 등을 알려주는 상대방을 꼰대라고 지칭하고 소통을 아예 차단해버리거나, 선배를 이용하고 무시하는 이들을 뜻한다. 

실제로 성인남녀 10명 중 4명은 주위에서 ‘역꼰대’를 목격하거나 경험한 걸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성인남녀 3587명을 대상으로 ‘역꼰대 현황’을 조사한 결과 40%가 주변 2030대 중 ‘역꼰대인 사람이 있다’고 밝혔다.

역꼰대 유형은 ▲자기 생각만 맞고 타인에게도 동의를 강요하는 ‘답정너형’(36.3%, 복수응답)이 1위였다. 다른 사람 생각은 “너무 구식이다”는 식으로 무시하면서 본인 의견만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근소한 차이로 ▲상대의 정당한 지적이나 훈계를 꼰대 같다며 무시하는 ‘벽창호형’(34.8%) ▲선배나 상사의 진심 어린 조언도 듣지 않는 ‘나잘난형’(34.4%)이 뒤를 이었다.

▲선배나 상사에게 당연한 듯이 부탁을 하는 ‘몰염치형’(23.8%) ▲예의없이 행동하고 상대가 쿨하게 받아들이기를 강요하는 ‘쿨 강요형’(22.9%) ▲선배나 상사에게 밥값, 술값 등 금전적인 부담을 떠넘기는 ‘흡혈귀형’(22.5%) ▲지적하는 선배나 상사를 익명게시판 등에 비방하는 ‘빅마우스형’(15.2%)도 있었다.

역꼰대 행동을 당했을 때 대응은 ‘아무렇지도 않은 척하며 받아준다’(35.8%)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넌지시 기분 나쁜 티를 냄’(25.7%), ‘무시하거나 자리를 피함’(21.4%), ‘단호하고 분명히 역꼰대 행동을 지적함’(15.3%) 순이었다.

역꼰대 행동에 아무렇지도 않은 척 무시하며 받아준 이들(514명)은 그 이유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65.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밖에 ‘따져봐야 달라지지 않을 것 같아서’(49.6%) ‘회사, 학교 생활이 편해져서’(11.3%) ‘역꼰대 행동이 충분히 이해되어서’(9.5%) ‘후배들 사이에서의 평판을 좋게 하기 위해서’(9.1%) 등을 들었다.

역꼰대는 왜 생길까.

전체 응답자들은 역꼰대가 생기는 이유로 ‘젊은 세대는 무조건 옳고 나이든 세대는 구식이라는 선입견이 있어서’(46.9%,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기성세대로부터 먼저 ‘꼰대’ 행동을 당해서’(31.8%)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신감이 과해서’(29.8%), ‘본인들의 자신감 없음, 무능함을 감추기 위해서’(18.6%) ‘역꼰대 행동이 젊은 세대 행동 양식이라고 생각해서’(17.4%) ‘또래 집단의 역꼰대 행동을 따라하게 되어서’(13.3%) 순이었다.

응답자들은 역꼰대가 되지 않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상대에 대한 존중과 배려’(66.6%, 복수응답), ‘말조심’(47.5%), ‘꾸준한 자기성찰’(36.7%), ‘편함과 버릇 없음을 구분하는 분별력’(35.4%), ‘상대를 이해하려는 역지사지 마인드’(34.8%) 등을 들었다.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자연이 교과서, 미래가 교실…양천구 ‘그린스쿨링’ 실험

“멸종위기 생물 손수건 만들기 체험을 하면서 멸종위기 동물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됐어요. 지구를 지키기 위해 재활용을 더 열심히 할 거예요” (길산초 6학년 김모양)기후위기 시대, 미래세대가 마주할 환경 문제를 교실 밖으로 끌어내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16일 서울 양천구청 일대에서 열린 ‘Y교육박람회 2025’ 현장. 쏟아지는 소나기도 아이들의 호기심을 꺾지는 못했다. 학생들은 이른 오후까지 이어진 빗줄기에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