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3일 (토)
정관용 “시사프로그램 20년은 더 하고 싶어”

정관용 “시사프로그램 20년은 더 하고 싶어”

기사승인 2009-01-30 17:01:01


[쿠키 문화] 시사프로그램 진행자로서 정관용(46·사진)씨는 MBC의 손석희씨에 맞서는 KBS의 간판이었다. 22년째 이어지는 ‘생방송 심야토론’(1TV)을 5년간, 국내 유일의 데일리 토론프로그램 ‘열린토론’(1라디오)을 6년간 진행해왔다. 그런 정씨가 지난해 11월 중순 두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하차했다. 진행자 교체를 놓고 당시 이런저런 추측이 나왔지만 그는 침묵으로 일관해왔다. 프로그램 게시판에는 지금도 그의 복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9일 정씨가 입을 열었다.

-제작비 절감을 위해 고액 출연료를 받는 외부 진행자들을 정리했다는 게 당시 KBS 측의 설명입니다. 그런데 진보로 찍혀서 잘렸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뭐가 맞습니까?

“제가 교체될 때 두 가지 얘기가 나오더라구요. 하나는 출연료 얘기인데, 정확한 액수를 공개할 순 없지만 오락프로그램 진행자들과 비교하면 제 출연료는 게임이 안 됩니다. 더구나 제 출연료는 5년간 한 번도 오른 적이 없어요. 또 제가 진보적 인터넷신문인 프레시안의 이사 직함을 가지고 있어서 정치적으로 편향됐다는 얘기도 하는데, 그 역시 어처구니 없는 얘기입니다. 오랫동안 시사프로그램을 진행해왔지만 제가 공정성 시비에 휘말린 적이 없거든요. 정권이 어떻게 바뀌든, 사장이 누가 되든 어느 쪽 편을 든 적이 없어요. 그래서 제작팀에서도 다들 이해가 안 간다는 반응이었죠.”

-그럼 왜 교체된 겁니까?

“그동안 KBS 내부에서는 왜 정관용만 하느냐는 불만이 계속 있었어요. 왜 KBS하면 정관용이냐, 외부인이 왜 간판이냐, 뭐 이런 얘기들이 있었던 거죠. 그 사람들은 김대중정부 시절에는 내가 YS정권에서 청와대에 있었던 사람이라고 비판했고, 이명박정부 들어서는 저 사람 프레시안 이사라고 비판하는 것이죠. 분명한 건 제가 언제까지나 그 프로그램들을 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언젠가는 바뀌는 것이죠.”

-1997년 SBS 라디오를 시작으로 12년간 시사프로그램만 진행해 왔습니다. 시사프로그램 전문MC로서 가장 신경쓰는 부분이 있다면?

“제일 고민하는 대목은 공정성입니다. 주제 선정부터 패널의 균형에 이르기까지 늘 공정성을 염두에 둬요. 진행자나 제작진이 어느 쪽이라더라, 이런 게 생기면 프로그램의 신뢰는 사라지는 거죠. 제 경우엔 토론의 열기를 식히기 위해 한 쪽에 농담을 던졌다면 반드시 기회를 봐서 상대편에도 농담을 던집니다. 거기까지 신경을 써요. 물론 기계적 중립만 중요한 건 아니죠. 양쪽에서 각자 자기 말을 충분히 전달하도록 내용적으로 균형을 잡아줘야 합니다. 그게 더 어렵고, 그게 제 역할이죠.”

-‘심야토론’은 250여회, ‘열린토론’은 1600여회 진행하셨습니다. 대한민국에서 토론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진행한 셈인데, 이 기록은 당분간 깨지기 어려울 거라고 합니다. 또 경희대에서 토론(스피치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치고 계시죠? 토론전문가로서 토론을 뭐라고 정의하시겠습니까?

“하다못해 친구와 점심메뉴를 정하면서도 토론을 합니다. 상대의 얘기를 잘 들으면 내가 모르던 식당, 내가 모르던 메뉴도 경험할 수 있어요. 그게 토론의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토론에서 상대방의 틀린 것만 찾아내려 합니다. 상대방 생각을 바꿔놓겠다고 토론을 하는 거죠. 내가 뭔가 얻어가려는 자세로 토론을 해야 합니다.”

-1997년 SBS 라디오로 진행자 생활을 시작한 후 12년만에 처음 휴식기를 가지고 있는데,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까?

“또 방송을 해야죠. 앞으로 한 20년은 더 시사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싶어요. 다만 새로운 포맷의 시사프로그램이 나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라디오를 보면, 시사프로그램 포맷이 거의 다 비슷해요. ‘열린토론’은 토론만 하는 프로그램이었다는 점에서 독특했었죠. 저는 그날그날의 이슈에 따라 어떤 때는 매거진식으로 하고, 어떤 때는 토론만 하고, 또 필요하다면 인터뷰만 하는 식의 좀더 유연한 포맷이 있으면 좋겠어요. TV도 보면, 미국이나 외국에서는 일대일 프로그램이 많잖아요? 우리도 그런 거 만들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해요. 가장 뜨거운 현안의 당사자를 불러다 놓고 진행자가 집중적으로 질문하는 그런 프로그램을 해보고 싶어요.”국민일보 쿠키뉴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이효리 욕설 논란은 인재(人災)… '패밀리가 홍역 치렀다'
▶군포 여대생 살해범 "실종 7명 모두 살해" 자백
▶하석진, 대한항공 미주CF 두번째 모델
▶남는 것 하나 없었던 이통사 '가입자 뺏기'
▶비, 세계적 다큐 채널 디스커버리 출연… '韓 문화 키워드'로 소개

김남중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85억원대 금융사고 터졌다…이번엔 KB국민·하나은행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에서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총 85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국민은행에선 21억원 가량의 사고 1건이, 하나은행에선 64억원에 이르는 3건의 사고가 터졌다.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20억7450만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전날 공시했다. 피해 금액은 20억7450만4000원으로 손실예상금액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금융사고 내용은 ‘외부인에 의한 사기’다. 부산 지역에서 대출사기 일당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