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 고위 관리는 4일(현지시간) CNN방송에 “우리는 그동안 북한이 도발적인 수사를 통해 긴장을 고조시켜 왔다고 비난했는데, 우리도 똑같은 일을 했음을 깨닫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방부 정책당국자들은 미 정부의 보도자료와 성명이 전 세계 언론의 1면을 장식하고 이는 북한의 더 강도 높은 대응을 부르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데 놀라고 있다”면서 “우리는 앞으로 결단코 대북 발언 수위를 낮출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의 한 고위관리는 AFP 통신에 “미국으로서는 B-2와 F-22, 구축함의 출동과 같은 무력과시가 필요하지만 동시에 위기지수를 낮추고 북한이 오판할 잠재적 위험성을 최소화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이 관리는 “전쟁을 피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것”이라며 “한·미 연합훈련은 계속되지만 앞으로는 덜 요란하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빅토리아 뉼런드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상황이 더 격화(get hotter)돼서는 안 된다”며 “미국은 북한이 태도를 바꿀 경우 ‘다른 경로’를 밟는 데 열려 있다”고 밝혀 기존 입장과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단순한 ‘발언 수위 조절’을 넘어 미 정부가 곧 ‘외교적 해법’으로 대북한 대응 방식을 전환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미 의회 소식통은 “존 케리 국무장관이 다음주 한·중·일 3국 방문 때 이러한 외교적 해결책을 본격 논의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사설에서 “지금은 위기를 진정시킬 방안을 찾아야할 때”라며 “케리 국무장관이 협상할 수 있다고 밝힌 것이 도움이 되겠지만 더욱 유용한 것은 한국이 주도권을 쥐고 대화와 협상에 나서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대북 강경론도 아직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상원 군사위원회 공화당 간사인 제임스 인호프 의원은 “F-22나 전함 등을 동원해 북한을 선제 공격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워싱턴포스트도 지난 2일 사설에서 “외교는 더 이상 효과가 없다”면서 “방코델타아시아(BDA) 금융제재와 같이 북한 권력층의 해외자산을 동결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며 강공책을 주문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