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회계 업무를 맡고 있는 회사원 임모(50·여)씨는 요즘 어깨부터 시작해서 양팔이 저리고 감각이 둔해지는 증상이 나타났다. 손에 힘이 빠지고 발을 헛디디는 등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다. 하지만 목디스크를 의심하고 병원을 찾은 임씨의 병명은 경추관협착증이었다.
척추는 20~30대 이후부터 척추관절이 단단하게 변성되는 노화 현상이 시작된다. 50대 이후 퇴행성 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척추 안의 신경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하는데, 발생 부위에 따라 경추관협착증(목부분)과 요추관협착증(허리부분)으로 나뉜다. 요추관협착증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최근 컴퓨터와 스마트 기기의 사용 증가로 경추관협착증도 늘고 있다.
성주용 구로예스병원 원장은 “경추관협착증은 디스크가 빠져나와 신경을 자극해 통증을 유발하는 목디스크와 초기 증상이 비슷해 일반인은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며 “엑스레이 촬영으로 경추의 퇴행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MRI(자기공명영상촬영) 검사를 통해 척수관 자체가 좁아졌는지와 눌린 신경 부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목디스크가 통증과 감각 이상이 바로 나타나는 것과 달리 척추관협착증은 서서히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초기에는 주로 목 부위의 통증, 어깨와 양팔의 통증, 양팔의 운동능력 및 감각의 이상 등이 나타난다. 목 부분의 척수는 어깨와 팔로 가는 신경뿐 아니라 다리까지 가는 신경이 모두 지나기 때문에, 증상의 발생이 반복되면서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심해지면 보행 장애나 배뇨 장애 등의 마비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성주용 원장은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와 신경성형술, 유착박리주사(핌스, FIMS) 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행하지만 근력 저하, 마비 증세 등이 보일 경우 미세현미경과 레이저를 이용해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는 미세현미경 감압술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잘못된 자세와 생활 습관을 고쳐 건강한 목의 C라인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책상에 앉을 때는 허리는 반듯이 펴서 등받이에 바짝 붙이고 고관절과 무릎의 각도는 90도 정도 유지되도록 한다. 컴퓨터를 볼 때 목을 앞으로 길게 빼는 습관이나 책상에 엎드려서 팔을 베고 자는 자세는 목 건강에 좋지 않은 만큼 고쳐야 한다.
더불어 운전이나 컴퓨터 작업 등 장시간 한 자세를 취해야 할 때는 한 시간마다 한 번씩 목 주변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하면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
[Tip.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목 운동법]
사진1. 한 손을 올려 반대편 귀를 감싸고 힘을 최대한 주지 않은 상태로 밑으로 천천히 당겨 10초간 유지한다.(좌우반복)
사진2. 양손을 깍지 낀 상태로 정수리 아래에 대고 지그시 눌러 목 근육을 풀어준다. (10초간 유지)
사진3. 엄지손가락을 턱에 대고 최대한 밀어줘 10초간 유지한다.
사진4.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고개를 숙이지 않고 손가락으로 턱을 누른 자세를 10초간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