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약사, 향후 국내 연구개발 투자 지속성 우려 조짐

글로벌 제약사, 향후 국내 연구개발 투자 지속성 우려 조짐

기사승인 2013-12-19 08:50:00
KRPIA, 2012년국내 R&D 투자현황 조사결과 발표

[쿠키 건강] 일괄약가인하를 비롯한 정부의 규제 강화로 지난해 국내 제약산업이 상당히 위축됐음에도 전반적으로 글로벌 제약사들의 2012년 국내 연구개발 투자는 2011년보다 증가했지만 신규 연구개발 과제는 감소해 향후 국내 연구개발 투자 지속성에 대한 우려의 조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회장 김진호, 이하 KRPIA)는 27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2012년 국내 R&D 투자 현황’을 조사, 분석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2년에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제약사들이 수행한 연구개발 과제 건수는 총 1430건으로, 2011년 1372건 대비 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다국가 임상연구가 79.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신규 연구개발 과제가 283건으로 2011년 351건에서 19.4% 감소해, 국내 임상시험에 대한 각광이 다소 둔화되는 양상을 보여 향후 국내 연구개발 투자 지속성에 대한 우려의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연구개발 과제에서 1상과 2상 임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19.3%에서 2012년에는 27.7%로, 초기 임상연구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09년 19.3%, 2010년 21.1%, 2011년 23.2%, 2012년 27.7%). 초기 임상연구는 기술집약적이며 다년간의 연구경험의 축적을 바탕으로 글로벌 수준의 임상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제반시스템이 담보돼야 하는 만큼, 글로벌 제약사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로 국내 임상연구 수준이 계속 향상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 나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진호 KRPIA 회장은 “2012년은 세계 경제 침체와 일괄약가인하 등으로 전례 없는 어려움을 겪어야 했던 상황이었지만, 연구개발 과제와 연구인력이 증가한 것은 그만큼 글로벌 제약사들의 한국에 대한 투자의지가 강하다는 뜻이다”며 “다만, 신약에 대한 적정한 가치를 인정하는 방안이 마련되지 않고 약가규제 정책이 중복적으로 이어지고 있어 신규 연구개발 과제의 감소가 우려된다”고 걱정했다. 따라서, “신약의 가치 보상을 위한 제도와 함께 임상시험 인센티브 제도, 투자 환경 개선, 일관성 있으면서도 부처간 조화로운 정책 등 정부 차원의 각종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제약사의 국내 연구개발 투자는 건강보험 재정건전성 및 환자들의 의료비용 절감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연구에 참여한 국내 환자는 2011년 10만376명보다 29.0% 증가한 12만9474명으로, 최소 700억원 상당의 약품비와 최소 614억원 상당의 의료비 절감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2012 OECD Health Data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료 기준). 특히, 임상연구가 고비용 항암제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점을 감안하면 환자접근성 뿐만 아니라 비용절감효과는 더욱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OECD Health Data에 따르면, 국민의료비 중 공공지출이 차지하는 비율과 가계지출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와 임상연구 참여환자에 대한 의료보험 지원하지 않는 국내 정책상황을 고려할 때, 글로벌 제약사의 임상연구는 국내 의료보장비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더불어, 글로벌 제약사의 국내 연구개발 투자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의 국내 연구 인력은 2009년에 779명에서 2012년에 925명으로 3년간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9년 779명, 2010년 832명, 2011년 893명, 2012년 925명). 기업당 평균 연구원 수는 34.3명으로, 국내 의약품 기업의 평균 연구원 수(23.9명)보다 약 1.43배 많은 수준이었다. 또한 이와는 별개로, 국내에서의 글로벌 제약사 임상 추세가 아웃소싱 또는 CRO 투자가 증가하는 것을 감안하면 R&D 전문인력 고용 및 육성 기여효과는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진호 회장은 “현재 아시아에서 R&D투자 유치 경쟁은 중국을 비롯해 싱가포르, 대만 등이 부상하면서 매우 치열하다”며 “국내의 신규 R&D투자 유지 및 개선을 위해서는 규제보다는 투자활성화를 위한 환경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글로벌 기준과는 동떨어지거나 예측가능성이 낮은 정책 및 환경 등은 해외투자유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염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이영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