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악의 외래종 ‘황소개구리’ 취급받은 연합뉴스>
[친절한 쿡기자] 황소개구리. 북미 동부가 원산지인 황소개구리 5000 마리의 뱃속에서 1만8814 마리의 생물이 나왔고 암컷 한 마리가 1년에 2만개 이상 알을 낳는다고 합니다. 그 식욕과 번식력은 가히 놀랍습니다. 그러니 세계 최악의 100대 외래종 동물로 꼽히겠죠. 연합뉴스가 지난해 3월 “황소개구리, 못 먹는 것이 없다”는 제목으로 외래종 생물 연구 저널 ‘네오바이오타(NeoBiota)’ 3월호를 인용해 보도한 내용의 일부 발췌한 내용입니다.
미디어 생태계에서 황소개구리에 비견할만한 포식자라니 처음엔 포털을 생각했습니다. 작년 한해 네이버와 다음의 독점적 뉴스 유통이 언론계의 핫이슈였기 때문입니다. 메이저 신문들이 앞에서 끌고 집권 여당이 밀어붙였어도 미완의 상생에 그친 것에 대한 ‘분풀이’ 표현으로 여겼습니다.
예상은 빗나갔습니다. ‘연합뉴스’를 그렇게 표현했습니다. 민주당 배재정 의원과 공공미디어연구소가 지난달 26일 공동 주최한 토론회 자리에서입니다. 주제는 ‘연합뉴스, 국가기간(基幹)통신사로 가는 길’. ‘연합뉴스지원법’으로 통하는 뉴스통신진흥법 제정 10년을 맞아 평가와 과제를 다룬 토론회였습니다.
<10년간 정부지원 약 3000억원…“공정하다” 내부 구성원 3.9% 불과>
이런 자리에서 원색적인 비유가 나왔다니 세부 토론 내용이 자못 궁금했습니다. 지난 10년 간 약 3000억원(추정)의 정보구독료 지원과 317억원의 별도 국고지원을 받은 연합뉴스가 정치적 편향과 불공정 보도 시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는 지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2009년 조사에서 연합뉴스 노조 구성원들은 3.9%만이 공정하다고 믿었고 87.4%가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적이지 않다고 답변했습니다. 또 구성원의 97%가 연합뉴스의 인사와 예·결산을 주무르는 뉴스통신진흥회가 연합뉴스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보장하지 못하며 60.3%는 권한만 행사하고 책임은 지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기간통신사가 한 일은 신문과 지역 언론 황폐화
하지만 포식자 ‘황소개구리’로 비유한 것은 이 때문이 아니습니다. 조·중·동이 지난해 포털을 상대로 뉴스를 제공하는 ‘소매상’ 중단을 요구하며 연합뉴스와 전재계약을 중단한 것은 좋은 예입니다.
일본의 민간 교도통신은 언론사들이 포털뉴스 공급에 반대하자 중단한 것에 비하면 기간통신사가 그럴 수 있느냐는 지적이 토론회에서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습니다.
연합뉴스를 기간통신사로 지정한 목적은 대외적으로는 정보주권(主權) 수호, 대내적으로는 지방의 정보격차 해소입니다. 특히 AP, AFP, 로이터 등 3대 통신사가 전 세계 뉴스의 80%를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관점과 가치 기준으로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자는 것이 핵심 포인트였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가 지원한 재정으로 25개국 32개 지역에 44명의 특파원과 통신원을 파견하고 있고 국내 13개 지역본부에 120여명의 취재진을 두고 있습니다. 여기서 우월적으로 생산한 뉴스를 포털에 직거래하면서 신문과 지역 언론을 황폐화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토론회에서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월 13일부터 일주일 간 국제기사 109건 중 64.2%가 AFP, AP, 교도통신 등 현지 언론을 인용해 보도한 것이었습니다. 우리의 관점과 가치를 담은 국제뉴스와는 거리가 멀었던 것입니다.
보도채널 ‘뉴스Y’ 부당지원 불구 경영악화 조짐…방송 생태계까지 교란>
더 심각한 지적은 연합뉴스가 2011년 12월 개국한 보도채널 ‘뉴스Y’에 대한 부당지원을 통해 방송 생태계까지 교란시키고 있다는 것입니다. 13개 지역본부는 ‘방송전담’을 두고 월 평균 20건의 뉴스를 리포트하고 있습니다. 그 대가로 지역본부는 고작 리포트 한 건당 3만원씩, 월 60만원을 지원받습니다. 1인당 연 2억원이 소요되는 특파원들도 동등한 조건으로 방송리포트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 연합뉴스는 회원사들에게 기사 송고 전 ‘작성 단계’에서부터 동일한 시스템을 통해 ‘뉴스Y’와 공유하는 특혜를 제공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이는 타 언론사와 비교해 ‘뉴스Y’에 차별적으로 유리하게 대우해서는 안 된다는 방송통신위원회의 보도채널 승인 조건 위반입니다.
‘뉴스Y’에 대한 사무실 공간의 부당 지원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뉴스Y’는 연합뉴스 사옥 3개층을 30% 할인가격으로 사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연간 1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뉴스Y’ 매출액 기준 5% 수준입니다. 연합뉴스는 1207억원을 들여 지은 사옥에 대해 올해부터 2023년까지 매년 108억원씩 970억원의 원리금을 갚아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이 같은 각종 특혜 지원에도 불구하고 납입자본금 605억원에 설립된 ‘뉴스Y’는 첫해인 2012년 누적적자가 214억원에 달했습니다. 공교롭게도 2007년 이후 매년 증가세를 보였던 모회사 연합뉴스의 당기순이익은 2012년 전년 대비 11억원이 줄었습니다.
<“기간통신사 수명 다해” 비판 일어…국민 세금 운영 실상 공개해야>
토론 내용이 사실이라면 연합뉴스는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지역본부와 특파원 인력, 그리고 시스템과 건물, 뉴스 정보를 자회사에 헐값에 제공하고 있다는 지적에 답해야 합니다. 그리고 연합뉴스의 사옥 원리금 상환과 ‘뉴스Y’ 적자 심화는 결국 국민의 추가 세금 부담으로 귀결될 소지가 없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야 토론회에서 “국가기간통신사로서의 수명을 다했다. 연합뉴스지원법을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듣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연합뉴스측은 토론회 참석 요청에 끝내 응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상생과 소통이 절실한 때인데도 말입니다. 정재호 디지털뉴스센터장
국민일보 쿠키뉴스의 뉴스룸 트위터, 친절한 쿡기자 ☞ twitter.com/@kukinew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