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군사력 사용 승인…긴장 최고조=러시아 상원은 1일(현지시간) 비상회의를 열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요청한 우크라이나에서의 군사력 사용 요청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고 이타르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우크라이나에 군사 공격 명령을 내릴 수 있게 된 것이다.
러시아는 이미 크림 반도에 대규모 군 병력을 이동시키는 등 군사 개입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이날 러시아가 병력 6000명 규모를 크림반도에 이동시켰다고 전했다. 과도 정부의 크림반도 파견관인 세르게이 쿠니친은 전날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 항공기 13대가 각각 병력 150명을 태우고 수도 심페로폴 인근 그바르데이스코예 공항에 착륙했다”고 밝혔다. 지난 26일부터는 우크라이나 인접 서부지역에서 병력 15만명, 전투기 90대, 탱크 870대, 군함 80척 등이 대규모 기동 훈련에 돌입한 상태다.
러시아의 물리적인 압박이 거세지자 우크라이나도 전면 경계태세에 들어갔다. 알렉산드르 투르치노프 대통령 권한대행은 러시아의 잠재적 위협에 대비해 전군에 전면 경계태세를 갖추라고 명령했다. 원자력 발전소, 공항 등 주요 기간시설에 대한 보안도 강화했다. 아르세니 야체뉵 과도 정부 총리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와의 통화에서 “군사개입은 전쟁의 시발점이자 양국의 관계를 끊는 사건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심상치 않게 흘러가자 국제사회도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유럽연합(EU)은 오는 3일 오후에 긴급 외무장관 회의를 열기로 했고,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도 28개 회원국의 대사를 2일 본부로 소집해 두 차례 이 사태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그러나 러시아가 실제 군사공격 카드를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더 많다. 그동안 리비아나 시리아 사태에서 외국 개입을 강하게 반대해 온 러시아가 이번 사태에 직접 개입하면 그동안 주장해 온 원칙을 스스로 깨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러시아가 크림 반도의 분리 독립 움직임을 부추기고 뒤에서 무기를 지원하는 등의 방식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미, 냉전 종식 후 최대 동-서 대결 위기…오바마 ‘시험대’=미국과 유럽의 고민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제지할 ‘지렛대’가 마땅치 않다는 데 있다. 푸틴이 러시아군을 크림 반도에 배치할 계획임을 공식적으로 밝히기 전에 백악관은 이미 이에 대응할 방안을 토론하고 있었다.
러시아 소치에서 6월 열리는 주요 8개국(G8) 정상회의에 불참, 진행 중인 러시아와의 경제협정 취소, 더 나아가 G8에서 러시아 축출과 미 군함의 크림반도 이동 등이 그것이다. 일부 미 상원의원들은 러시아 경제에 타격을 주는 금융제재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들이 푸틴이 크림반도에 군사개입을 주저하게 할 만큼 ‘고통스러운’ 제재가 될 지는 의문이다. 우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러시아는 자국에 대한 어떠한 유엔 제재도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석유와 가스 등 풍부한 천연자원이 풍부해 경제 제재가 먹힐 가능성도 높지 않다. 게다가 서유럽 국가들이 대부분의 천연가스를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어 러시아는 궁지에 몰리면 가스 공급 중단이라는 카드로 대응할 수 있다.
장기적인 제재수단에는 러시아가 반응을 보일 수 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이란 경제를 파탄 직전에 이르게 한 금융제재를 러시아에도 가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또한 막대한 반대급부가 따른다. 러시아와 경제적 유대가 강한 유럽국가들이 동참을 꺼릴 것이고, 시리아 내전과 이란 핵협상 등에서 러시아의 협력이 긴요한 미국으로서도 강력한 금융제재라는 방아쇠를 당기는데 주저할 수밖에 없다.
미 브루킹스연구소의 피오나 힐 연구위원은 뉴욕타임스(NYT)와 인터뷰에서 “미국이 무엇을 할 수 있나”고 반문했다. 그는 “2008년 조지아 전쟁 때도 미국은 제재와 레드라인(금지선)을 얘기했다”면서 “결국 우리는 격분하겠지만 뒷짐을 질 것이고 그냥 지켜볼 것이다. 푸틴은 미국이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용상 기자,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