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나 철도 등 다른 이동수단에 비해 허술한 여객선 탑승 시스템으로 미뤄 볼 때 최근 집계된 명단 외 무임승차 인원이 더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세월호 총 승선자 수는 사고 초기부터 혼선을 빚었다. 정부와 청해진해운은 사고 발생 후 전체 탑승객 수를 수차례 바꿔 발표했다.
사고 당일인 16일 오전 최초 477명으로 밝혔다가 오후 들어 459명, 462명으로 바꾼 뒤 오후 늦게 475명으로 다시 정정했다. 하루에 3차례나 바뀌었다. 그러나 이틀 뒤 범정부사고대책본부는 선사가 작성한 명부를 기초로 확인한 결과 승선자는 476명으로 1명 더 늘었다고 발표했다.
승객 2명이 안개 때문에 출항 여부가 불명확해지자 비행기를 탔거나 귀가했고, 생존자 중 3명이 승선원 명부를 작성하지 않고 차량에 동승해 결과적으로 1명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최종 승선자 수는 실종자 수를 파악하는 중요한 단서다. 정부는 최종 승선자 수가 오락가락하는 상황에서 사망자와 구조자를 뺀 나머지를 실종자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공식 발표한 476명도 정확한 탑승 인원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당시 세월호에 무임승차한 인원이 몇 명이었는지 파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해지방해양경찰청의 한 고위 관계자는 20일 “추가로 확인된 3명이 모두 무임승차 인원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면서도 “폐쇄회로(CC)TV를 보고 평소 세월호를 자주 이용하던 화물차량 기사들의 얼굴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세월호 선사 청해진해운 측도 “현재 무임승차한 승객이 더 없다고는 말 못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선사 측은 정부의 476명 수정 발표가 있기 전 한 화물차량 기사의 부인이 무임승차했다가 사망자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명단에 없던 사망자였다. 이 인원이 정부가 18일 발표한 추가 인원 3명에 포함됐는지는 선사 측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