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김영삼 전 대통령은…군정종식·문민시대 열어, DJ와 필생의 라이벌

故 김영삼 전 대통령은…군정종식·문민시대 열어, DJ와 필생의 라이벌

기사승인 2015-11-22 01:55:55

[쿠키뉴스=김현섭 기자]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을 지낸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이 22일 새벽 0시21분에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서 혈액감염 의심 증세로 치료를 받던 중 서거했다. 향년 88세.

김 전 대통령은 19일 몸에서 열이 나 서울대병원에 입원했으며, 21일 오후 상태가 악화돼 중환자실로 옮겼다.

김 전 대통령이 서거하면서 ‘김영삼·김대중’으로 상징되는 한국 현대정치의 ‘양김 시대’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9년 8월 18일에 85세를 일기로 서거했다.

1927년 12월20일 경남 거제군 장목면 외포리에서 아버지 김홍조(金洪祚)와 어머니 박부연(朴富蓮)의 외아들로 태어난 김 전 대통령은 장목소학교, 통영중학교, 경남고등학교,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김 전 대통령은 1954년 3대 민의원 선거에 당선, 한국 정치사의 최연소(만 25세) 국회의원이 됐다. 이후 그는 제 5·6·7·8·9·10·13·14대 국회의원까지 9선 의원을 지냈다.

야권 후보단일화에 실패한 채 통일민주당 후보로 독자출마한 1987년 12월 대통령선거에서 당시 민주정의당 노태우(盧泰愚) 후보에게 패해 2위로 낙선했다.

하지만 민주정의당·신민주공화당과의 3당 합당을 통해 탄생한 거대 여당 민주자유당에 ‘호랑이를 잡으러 호랑이 굴에 들어간다’고 합류, 박철언 전 의원과의 치열한 대결을 벌인 끝에 대선후보를 쟁취했고, 1992년 대선에서 ‘라이벌’ 김대중(金大中)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됐다.

‘군정의 종식’이었으며 ‘문민시대의 시작’이었다.

김 전 대통령은 야당 당수 세 차례, 야당 원내총무 다섯 차례를 역임하며 평생의 민주화 동지이자 정치 라이벌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군사정권에 맞섰다. 양김의 ‘상도동·동교동’은 민주화 세력의 양대 산맥으로 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40대 기수론’을 내세운 야당 당수로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신 체제에 정면으로 맞서다 1979년 총재 직무를 강제로 정지당하고 의원직에서도 제명되는 고초를 겪었다.

신군부 정권 시절이던 1980년대 들어서는 23일간의 단식 투쟁, 장기간의 가택연금 등의 모진 정치적 박해와 고난을 겪으면서도
민주화추진협의회 결성, ‘87년 6월 항쟁’ 주도 등을 통해 민주화 운동을 이끌며 군사정권 기반 약화와 직선제 개헌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대도무문’을 좌우명으로 삼았던 김 전 대통령은 평생을 민주화 투쟁과 인권 증진의 외길을 걸으면서 “닭의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는 자신의 신조처럼 군사독재 종식과 민주체제 정착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 전 대통령이 재임 기간에 도입한 금융·부동산 실명제는 당시엔 논란이 많았지만 결과적으론 사회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한 단계 끌어올리는 성과가 됐다고 볼 수 있다. 지방자치제 실시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그의 이런 업적은 임기 중 친인척 비리와 외환 위기에 따른 국가 부도 사태 초래로 임기 초반 누렸던 국민의 절대적 지지를 대부분 상실했고, 이 탓에 지금도 평가가 ‘극과 극’을 달리는 대통령이기도 하다.

또한 김대중 전 대통령의 호남지역을 포위한 ‘3당 합당’, 상도동으로 대변되는 ‘가신정치’는
부(負)의 유산으로 기억된다.

김 전 대통령은 퇴임 후에도 PK(부산·경남)를 지역 기반으로 삼은 민주화 세력을 일컫는 ‘상도동계’의 영원한 리더로서 오랫동안 현실 정치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평생 거르지 않다시피한 새벽 조깅과 영문이니셜 애칭 ‘YS’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였다.

유족으로는 부인 손명순 여사와 아들 현철 씨가 있다. afero@kukimedia.co.kr
김현섭 기자
afero@kmib.co.kr
김현섭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