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박예슬 기자] 정부가 앞으로 5년간 보건산업을 집중 육성해 2020년까지 수출은 20조원으로, 일자리는 94만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8일 정부는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8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을 논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의 핵심 대책으로 정부는 우선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분야는 세계시장을 선도할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의약품 첨단·차세대 의약품 및 백신 등 전략적 연구개발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병원 등 기초연구성과를 제약기업으로 이전·상용화를 지원하고, 글로벌 항체신약 개발, 백신 개발 투자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의료기기에 있어서는 국내 유망기술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영상진단기기 등 10대 분야에서 우수기업을 선정해 기술개발에서 임상시험·수출까지 연계·지원하고, 의료로봇 등 실용화를 위한 중개연구 확대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산 의료기기 사용경험 확대 및 유통·관리 선진화를 위해 의료기기 성능 비교검증 지원을 확대하고, 의료기기 고유식별코드를 내년에 도입할 계획이다.
화장품 산업의 고급화 및 기술력 향상을 위한 지원도 이뤄질 방침이다. 이에 유망 분야 R&D 투자 신설,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확대, 화장품 원료전문 우수기업 지정, 화장품 포장규제 개선, 한류–뷰티–의료 연계 사업화 프로그램 운영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태동기 산업인 정밀의료·재생의료, ICT 기반 의료서비스 분야는 빠른 속도로 기술력과 시장이 형성되도록 제도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선정된 정밀의료는 유전체 정보 등 코호트를 구축해 연구․산업 목적으로 개방하고, 3대 진행성 암 환자 임상시험을 통한 맞춤형 치료법 도출 등 정밀의료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손상된 인체기능을 복원하는 첨단 재생의료 산업도 활성화한다. 이에 병원 내 신속 적용제도 등 ‘첨단재생의료법’을 제정해 임상진입 후 환자 치료에 사용되는 기간의 대폭 단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ICT 기반 보건의료서비스 관련해서는 진료정보 교류에 기반한 대형병원과 중소병원 간 협진 활성화, 공공기관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플랫폼을 구축해 질병 재발률 분석, 약물반응 예측 등에 분석·활용을 지원하는 등 보건의료 빅데이터 공개·활용 강화할 계획이다.
나아가 보건의료 R&D 실용화 및 보건의료분야 창업 활성화를 위해 보건산업 혁신생태계를 조성해 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을 구축한다.
우선 병원 중심의 오픈 이노베이션 촉진을 위해 연구중심병원 기능 강화, 연구성과 기술사업화 전담조직(TLO) 확대, MD-PhD 기술협력 지원을 실시해 의료 창업을 촉진키로 했다.
아울러 병원-기업-연구소가 결합된 한국형 메디클러스터 육성을 위해 홍릉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첨단의료복합단지에 임상시험센터 설치, 아이디어부터 마케팅까지 전주기를 지원하는 (가칭)바이오헬스 비즈니스 코어센터를 운영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종합발전전략은 보건산업 현장의 요구를 중심으로 바이오헬스 산업 민관협의체를 통해 수립된 것”이라며, “의약품·의료기기부터 첨단 의료까지 전체 보건산업을 망라하는 계획을 통해 분야간 시너지를 내고 창조적인 협력 모델을 만드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yes228@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