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의 치료 안전망을 촘촘히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4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17 뇌졸중 재활정책 심포지엄’에서 재활의료계 연구자들은 뇌졸중 환자의 초기 치료 시스템을 촘촘히 해야 한다는 것에 의견을 같이 했다.
김연희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허혈성 뇌졸중 발병 6개월 후 기능적 상태는 장기적 생존과 관련이 있다”며 “기능수준을 높일 수 있는 뇌졸중의 초기 중재가 장기 생존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며 뇌졸중 후 재활치료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김 교수는 지난 2012년부터 재활치료를 통한 초발 뇌졸중 환자의 기능수준, 후유장애 등을 추적 조사하는 ‘한국 뇌졸중 재활코호트(KOSCO) 연구를 총괄하고 있다.
뇌졸중은 성인 중도장애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뇌혈관 질환 중 하나다. 국내에서는 1년에 10만 명 이상의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는데, 이는 대략 5분에 1명꼴이다. 특히 최근에는 젊은 뇌졸중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뇌졸중이 발생하면 분당 190만 개, 시간당 1억 2000만 개의 신경세포가 없어져 운동기능, 언어능력, 삼킴, 기억력, 지각능력 등이 인지기능에 문제가 생긴다. 다만 초기에 적절한 의료개입과 재활치료 등을 받으면 기능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 의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뇌졸중 후 기능 회복은 주로 발병 초기에 이뤄진다. 때문에 재활 치료도 뇌기능 회복력이 가장 높은 시기인 6개월 이내 시행이 권장된다. 이 시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재발 위험이 낮으며, 뇌졸중에 뒤이어 오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KOSCO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국내 초발 뇌졸중 환자의 사망률은 1개월째 사망률이 4.4%, 1년 사망률은 10.4%, 2년사망률은 13.2%로 시간이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신용일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교수는 “뇌졸중 발병 7일째의 인지기능과 운동기능, 그리고 삼킴기능이 발병 1년 후 일상생활 기본동작 수행기능을 예측인자로 분석됐다”며 조기 재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뇌졸중 환자 보호자들의 삶의 질도 낮은 편이다. 신 교수는 “보호자의 삶의 질을 분석한 결과 양측성 난청 환자와 비슷한 삶의 질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보호자들의 고충 또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손민균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교수는 “뇌졸충 초기 개입이 중요한데도 아직까지 조기재활이 체계화되지 않아 치료가 필요한 시기에 적절한 재활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집중 재활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수가체계 개선 ▲재활의료전달체계 구축 ▲뇌졸중 환자들의 사회복귀 정책 ▲뇌졸중 환자와 보호자 교육 개입 등을 해결 과제로 제시했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