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8일 (목)
'스마트 레인시티 수원', 지방정부 최고의 정책 선정

'스마트 레인시티 수원', 지방정부 최고의 정책 선정

기사승인 2018-02-23 20:54:51

 

 경기도 수원시가 23일 자연친화적 물 순환도시 조성 정책인 ‘스마트 레인시티 수원’으로 (사)한국지방정부학회가 주관하는 ‘2017 지방정부 정책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사진).

 지난 2015년 도시계획 수립에 시민 참여를 극대화한 정책인 ‘집단지성으로 수원의 밝은 미래를 만들다’로 대상을 받은 데 이은 두 번째 쾌거다.

 이날 오전 부산 신라대학교 종합강의동에서 열린 수상식에 참석한 이한규 제1부시장은 “수원시는 스마트 레인시티 사업뿐 아니라 미세먼지·온실가스 관련 정책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면서 “앞서가는 환경도시로서 타 지자체에 모범이 되는 정책을 지속해서 발굴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이 상은 지방자치단체의 독자적인 정책 가운데 지역 발전에 크게 기여했거나, 다른 지자체에 귀감이 될 만한 정책 사례를 발굴·확산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수원시의 이 정책은 ‘사람·물·자연이 함께하는 안전한 물 순환도시 만들어간다’는 도시 전반에 자연 상태에 근접한 물 순환 구조를 만드는 탁월한 아이디어는 물론 정책이 가시적으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점에서 이같이 큰 점수를 얻었다.

 심사위원들은 ▲ 버려지는 빗물을 모아 ‘가뭄에 단비’처럼 활용하는 아이디어의 참신성 ▲ 도시 전반에 자연친화적 물 순환 과정을 회복한 환경보호 측면 ▲ 2009년 물 순환 관련 조례 제정부터 2017년 ‘레인시티 수원 시즌 3’ 추진까지 정책의 지속성 등을 높이 평가했다.

 수원시는 ‘주유기 모양 빗물 공급장치’, ‘노면 살수 시스템’ 등으로 2017년 한 해 동안 빗물 1만 1800톤을 재활용했고, 도시 곳곳에 LID(저영향 개발) 시설을 설치해 지하수 오염물질을 대폭 줄였다.

 이를 통해 과거 10% 수준에 불과했던 수원시의 물 자급률은 2017년 1월 기준 26.46%로 크게 높아졌다.

 시는 현재 도시 전반에 걸쳐 작동하고 있는 자연친화적 물 순환 시스템을 2018년부터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최첨단 기술과 연계해 ‘스마트 레인시티 수원’ 사업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시상식에서 전남 완도군의 ‘완도희망 PD와 함께한 완도군 농어촌 개발계획’이 최우수상을, 서울 서대문구의 ‘IoT와 행정의 융합’과 울산 남구의 ‘나눔천사 프로젝트로 행복이음 복지사업 전개’가 각각 우수상을 받았다.

수원=김동섭 기자 kds610721@kukinews.com

 

김동섭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체 불가’ 이혜영처럼”…목표 이룬 김성철의 다음 스텝

“연기라는 것이 얼굴도 중요하고 목소리도 중요하지만요. 배우에게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누구나 대체 불가이길 원할 거예요. 저도 마찬가지예요. (이혜영) 선생님 에너지는 고유하잖아요. 대체 불가죠.”무대부터 매체까지 영역을 가리지 않고 활약해 온 배우 김성철이 또 다른 목표를 세웠다. 지난달 28일 서울 소격동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롤모델로 영화 ‘파과’를 함께한 이혜영을 꼽으며, 이같이 밝혔다.&ls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