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0일 (목)
한미 정상 만찬에 오른 ‘독도 새우’ 울릉도 첫 방류

한미 정상 만찬에 오른 ‘독도 새우’ 울릉도 첫 방류

기사승인 2018-05-02 11:08:11 업데이트 2018-05-02 11:08:20

 

지난해 한미 정상회담 만찬 식탁에 올라 화제가 된 ‘독도 새우’가 울릉도 해안에 방류됐다.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일명 ‘독도 새우’로 잘 알려진 어린 도화새우 12만 마리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생산, 1일 울릉해역에 놓아줬다.

이번에 방류한 어린 도화새우는 몸길이 1.5~2㎝급의 건강한 새우다.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울릉도·독도 해역에서 포획된 암컷 도화새우를 4월까지 연구소 실내 수조에서 직접 부화, 사육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도 새우’는 독도 인근 해역에서 잡히는 물렁가시붉은새우(일명 꽃새우, 홍새우), 가시배새우(일명 닭새우), 도화새우(일명 대하) 3종을 말한다.

이 가운데 도화새우는 가장 크며 최대 25㎝까지 자라고, 우리나라 동해의 울릉도·독도 해역을 비롯해 베링해, 오호츠크해 등 수심 150~300m에서 사는 대표적 한해성(寒海性) 새우다.

수명은 약 8년 정도로 처음 부화 후 4년까지는 수컷이었다가, 5년째 암컷으로 성(性)이 바뀌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몸길이 20㎝ 이상의 암컷 개체는 ㎏당 20만원 이상(마리당 1만5000원 이상)을 호가한다.

연구소는 최근 각종 요리 프로그램 등 독도 새우의 언론 노출이 잦아지면서 수요가 급증하자, 지난 2013년부터 독도 새우의 일종인 물렁가시붉은새우 종자생산 연구를 시작, 매년 5~10만 마리 정도를 생산해 울릉해역에 방류하고 있다.

또 지난해부터 도화새우의 어미확보 및 기초 번식생태 연구에 돌입해 올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어린 도화새우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이원열 환동해지역본부장은 “경북 울릉도·독도 해역을 포함한 환동해역의 고부가 수산자원의 종 보존과 복원이 필요한 종자생산 연구 및 자원조성 사업에 매진해 도내 어업인들이 수산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울릉=김희정 기자 shine@kukinews.com

김희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2연승’ 유상욱 BNK 감독 “디아블? 탑급 선수 될 것”

유상욱 BNK 피어엑스 감독이 팀 경기력에 만족감을 표하며 ‘디아블’ 남대근을 칭찬했다.유 감독이 이끄는 BNK는 10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RX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 완승을 거뒀다. 개막전 패배 후 2연승에 성공한 BNK는 2승1패로 4위에 자리했다. 반면 DRX는 2연패에 빠지며 1승2패를 기록했다.경기 후 취재진과 만난 유 감독은 “기세를 타기 위해 중요한 경기였다. 2-0으로 이겨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