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3일 (화)
지갑 열기 겁나는 물가… 냉면 한 그릇에 8769원

지갑 열기 겁나는 물가… 냉면 한 그릇에 8769원

집밥·외식 모두 큰 폭의 물가 상승세

기사승인 2018-06-06 10:50:17 업데이트 2018-06-06 11:11:43

외식 메뉴의 가격 상승세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집밥을 먹기엔 반찬값도 만만찮다.

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 지역에서 소비자들이 즐겨 먹는 대표 외식 메뉴 8개 중 7개가 1년 새 가격이 올랐다. 1개는 지난해와 같았고, 가격을 내린 메뉴는 없다.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상승에 따라 음식점들이 일제히 외식 메뉴의 가격을 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기준 서울 음식값을 보면 냉면은 한 그릇에 평균 8769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달(7962원) 대비 무려 10.1%의 상승폭이다.

서민 대표 기호식품 삼겹살의 경우 200g당 1만 6489원으로 지난해보다 5.6% 상승했다. 그 뒤로는 김치찌개 백반(2.6%), 칼국수·김밥(1.8%), 비빔밥(1.4%), 삼계탕(0.8%) 순으로 많이 올랐다.

8개 품목 중 짜장면만 4923원으로 가격이 동결됐다.

전국 16개 광역시도 기준 물가는 서울이 가장 높았다. 삼겹살 200g의 경우 서울이 가장 비싼 가운데 가잔 싼 곳은 강원도로 1만 1444원으로 나타났다. 서울과의 차이가 무려 5045원이다.

냉면도 서울이 가장 비쌌다. 가장 싼 제주도(7000원) 대비 서울이 1769원 비쌌다.

비빔밥, 김치찌개 백반 등 일부 품목은 최고 가격을 찍은 지역이 모두 달랐다. 비빔밥은 대전(8900원), 김치찌개 백반은 제주(7125원), 짜장면은 광주(5300원), 삼계탕은 광주(1만 4400원), 칼국수는 제주(7250원), 김밥은 대전(2300원)이었다.

이 같은 외식 품목 인상 못지않게 집에서 먹는 먹거리 가격도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소비자원이 지난달 10일 발표한 주요 간편 식품 10개 품목의 인상율을 살펴보면 즉석카레 3.8%, 라면 2.1%, 탕 1.4%, 컵라면 0.2%로 지난해 5월 대비 올랐다.

컵밥, 즉석죽, 즉석짜장 등 3패 품목은 소폭 하락했고 즉석밥, 수프, 즉석국은 지난해와 동일했다.

이다니엘 기자 dne@kukinews.com

이다니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한국미 알리겠다는 의무감”…‘탄금’ 이재욱·조보아, 전세계 홀릴 미스터리 멜로 사극

철저한 고증으로 구현한 한국미를 바탕으로 사극에 최적화된 배우들이 의기투합한 ‘탄금’이 베일을 벗는다.넷플릭스 시리즈 ‘탄금’ 제작발표회가 13일 오전 서울 신도림동 라마다호텔에서 열렸다. 현장에는 김홍선 감독, 배우 이재욱, 조보아, 정가람, 엄지원, 박병은이 참석했다.‘탄금’은 실종됐던 조선 최대 상단의 아들 홍랑이 기억을 잃은 채 12년 만에 돌아오고, 이복누이 재이만이 그의 실체를 의심하는 가운데 둘 사이 싹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