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는 현재 지구상에서 인간에게 가장 위험한 동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말라리아, 황열, 뎅기열, 뇌염 등의 모기 매개 질환으로 매년 최소 72만명이 사망하며 전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치명적인 모기 매개 질환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국내에서도 매년 말라리아나 일본뇌염에 의한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올해는 봄부터 비가 많이 내려 예년보다 모기 개체수가 급증한 상태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KMI 한국의학연구소 신상엽 학술위원장(감염내과 전문의)에 따르면, 모기가 인체에 미치는 위험성은 크게 ▲모기 매개 질환 ▲모기 상처를 잘못 관리해 생기는 봉소염(봉와직염) ▲수면장애를 통한 면역력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모기 상처를 잘못 관리해 생기는 봉소염(봉와직염)의 위험성도 주목해야 한다. 모기는 사람 피부에 앉아서 침을 꽂고 흡혈하기 전에 먼저 타액을 집어넣는다. 모기의 타액에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마취제’와 흡혈 시 피가 굳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항응고제’ 등이 들어있는데 모기의 타액이 체내에 들어오면 우리 몸에서는 면역반응이 나타나면서 모기에 물린 부위가 붓고 발적이 생기고 간지럽게 된다.
간지럽다고 모기에 물린 상처를 심하게 긁거나 상처부위에 침을 바르거나 손톱으로 꾹꾹 누르게 되면 피부나 침 안에 들어있던 세균들이 피부 아래 연조직으로 들어가 봉소염을 일으킬 수 있다. 봉소염이 생기면 인근 조직으로 급속하게 감염이 퍼져나가고 면역저하자의 경우 패혈증 등의 중증 합병증이 생겨 사망하는 경우도 생긴다.
국내에서 매년 100만명 이상이 진료 받을 정도로 흔한 질환인 봉소염은 특히 여름철에 50% 이상 환자 수가 증가한다. 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모기에 물린 상처를 제대로 관리 못했기 때문으로 지적되고 있다.
모기에 물린 자리는 가능한 건드리지 않는 것이 가장 최선이며 너무 간지러운 경우에는 냉찜질이 도움이 된다.
신상엽 학술위원장은 수면장애로 인한 면역력 저하 위험성도 지목했다. 잠잘 때 우리 귀 옆에서 날아다니는 모기의 날갯짓이 내는 소음은 층간소음 기준인 40dB을 훌쩍 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모기가 내는 소음과 모기에 물린 뒤 간지러운 증상 등이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면 장애가 생기면 피곤해지고 우리 생체 시계에 교란이 발생, 이로 인해 면역력 저하를 유발할 수도 있다.
신 학술위원장은 “이런 여러 모기의 위험성에서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라며, “모기에 물리지 않기 위한 가장 적극적인 방법은 모기기피제와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디에칠톨루아미드(DEET) 성분의 모기기피제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라며, “DEET 성분의 모기기피제는 국내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진드기 매개 질환 예방 효과도 있어 야외 활동 시 선호된다”라고 덧붙였다.
일반적으로 DEET 성분의 모기기피제는 DEET 농도에 따라 효과 지속 시간이 달라지며, 스프레이타입은 최대 4시간 정도, 크림타입은 최대 8시간 정도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기기피제와 자외선차단제를 같이 발라야 하는 경우 바르는 순서도 중요하다. 신 학술위원장은 “여름에는 모기기피제와 자외선차단제를 같이 발라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라며 “이 때 반드시 자외선차단제를 먼저 바르고 모기기피제를 나중에 발라야 한다. 이 순서가 틀리게 되면 모기기피제의 효과를 제대로 보기 어려우니 주의를 요한다”라고 조언했다.
또 “국내에서는 주로 모기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모기장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아프리카나 동남아 등의 개발도상국의 모기 매개 질환 위험지역에 가는 경우는 모기, 진드기, 벼룩 등을 막아주는 퍼메트린으로 처리된 방충망 사용을 권장한다”라고 전했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