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 (금)
유령주식 사태 재발, 예탁원·유진투자 네탓 공방

유령주식 사태 재발, 예탁원·유진투자 네탓 공방

기사승인 2018-08-14 04:00:00

유진투자증권 해외주식 거래에서 삼성증권 유령주식 사태와 같은 사고가 또 발생했다. 업계에서는 터질게 터졌다는 반응이다. 문제의식을 느끼고 시스템 개선에 앞장서야 하지만 한국예탁결제원과 증권사 모두 서로 상대 탓만 하는 모습이다.

유진투자증권은 지난 5월 말 개인투자자 A씨가 보유한 미국 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 주식 병합 사실을 제때 계좌에 반영하지 않아 초과된 주식이 매도된 사고를 일으켰다.

이에 금감원은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 8일간 유진투자증권과 한국예탁결제원을 상대로 현장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검사인원 5명을 파견하고, 필요시 검사기간을 연장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금감원이 사건 수습에 나선 가운데 당사지자인 유진투자증권과 예탁결제원은 책임 전가에 급급하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 관계자는 “예탁원이 세이프(SAFE) 시스템으로 각 증권사에게 정보를 전달하면, 각 증권사는 자동송수신시스템(CCF) 방식 또는 파일업로드(수동) 방식으로 정보를 받는다. 증권사의 내부 시스템을 규제할 법규는 없다”고 해명했다.

사고를 일으킨 유진투자증권도 시스템 개선에 대한 해결책은 내놓긴 보다는 당국의 입만 바라보고 있다. 유진투자증권 김경식 팀장은 “당국 검사 결과가 나온 후 거래 시스템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예탁결제원과 유진투자증권의 책임을 회피하는 사이 금융당국도 중심을 잡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해당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도 아무런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태다. 더욱이 이번 사고는 금감원이 삼성증권 유령주식 사고를 계기로 전체 증권회사 주식 매매 시스템을 점검하는 기간에 발생해 금융당국은 비난을 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 장희진 사무관은 “금감원에서 현재 상황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예탁원의 문제인지, 개별사의 문제인지에 대한 정확한 결과가 나온 후 내부 협의를 통해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예탁결제원과 증권사의 싸움을 바라보는 시민단체에서는 공동책임론을 제기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예탁원과 증권사 공동의 책임이 있다. 다만 예탁원은 공공기관으로서 좀 더 문제의식을 갖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림 기자 roong8@kukinews.com

김태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약한영웅2’ 려운 “수호가 호위무사라면, 바쿠는 대장…비슷하지만 다르죠”

배우 려운이 넷플릭스 시리즈 ‘약한영웅 클래스 2’(이하 ‘약한영웅2’)로 얼굴을 갈아 끼웠다. 은장고 대장이자 농구부 주장 박후민을 구현하기 위해 10kg을 찌우는 등 노력한 덕분이다. 2일 서울 소격동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약한영웅1’을 너무 재밌게 봐서 회사에 꼭 해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열심히 준비했다”고 돌아봤다.‘약한영웅1’에 안수호(최현욱)가 있었다면, ‘약한영웅2’에서는 박후민의 역할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