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일자리위원회 개최, 바이오헬스·소프트웨어·지식재산 분야 민간 일자리 대책 논의
정부가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민간 일자리 확대를 위해 벤처 활성화 및 신산업 육성에 나선다.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부위원장 이목희)는 11일 7시 30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7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바이오헬스, 소프트웨어(SW), 지식재산(IP) 분야 일자리 창출 대책을 논의·의결했다.
이번 회의는 ‘민간 일자리 창출’을 논의하고자 개최됐으며, 고령화 시대에 성장산업으로 각광받는 바이오헬스 분야, 청년 고용효과가 높은 소프트웨어 분야, 국가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지식재산 분야를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했다.
‘바이오헬스 新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계획’(보건복지부)과 관련해서는 국민건강 증진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육성 ▲벤처창업 활성화 ▲전문인력 양성 ▲미래신산업 육성 및 해외시장 진출 지원 등을 추진한다.
이와 관련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을 첨단화하도록 R&D 투자와 함께 국내·외 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원을 확대한다. 또 인공지능·IT기술을 활용해 후보물질 발굴, 임상시험 등 신약개발 과정을 혁신하고 융·복합 의료기기 및 항노화 기술 등 화장품 신기술 개발에 투자를 확대한다.
세부적으로 2019년 R&D 인공지능 신약개발 75억원, 스마트 임상시험 기술 25억원, 마이크로의료로봇 실용화 기술 57억원 등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 범부처 융복합 의료기기(’20~’29년, 2조8000억원), 화장품 신기술(’20~’24년, 1000억원) 개발 예비타당성 조사도 추진한다.
국산 의료기기의 국내·외 시장진출을 지원(국내 대형병원 유망 의료기기 시범사용 지원을 위해 2019년 26개 제품에 26억원, 의료기기 해외 수출 시 사용적합성 검사 지원을 위해 2019년 3억3000만원 등)하고 화장품 산업 수출국 다변화(동남아·유럽·중남미 해외판매장·팝업부스 설치 및 로드쇼 추진 등에 2019년 14억4000만원)를 통해 한류 붐을 이어간다.
또 바이오헬스 벤처창업 全주기 지원을 통해 ’22년까지 연간 창업기업을 900개로 확대한다. 올해 3월 개소한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에 전문인력을 추가배치(16→18명)해 기술가치 평가·투자연계·경영 컨설팅 등 지원을 강화하고, 바이오헬스 산업에 특화된 펀드를 확대한다.
펀드의 경우 오는 10월 5년 이내 초기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보건산업 기술창업 펀드’ 투자개시(300억웜) 및 신약개발·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신규펀드 조성(’19년, 1000억원)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연구설비·창업인프라를 갖춘 지역 바이오 클러스터와 지방거점병원 간 공동사업을 통해 지역단위 벤처창업을 활성화를 모색하는데 3개 지역에 2019년 24억원이 투입된다.
인력양성도 추진된다. 2022년까지 바이오의약품 현장전문 인력 및 의과학자·글로벌 인재 등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을 선도할 우수 인력을 1만명 양성에 나서는데 우선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실습교육장을 설치해 바이오의약품 생산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전문인력을 양성(’19년 21억원, 연 200명)하고,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및 의사(MD)-과학자(Ph.D) 공동연구 지원, 해외대학·기업·연구소 등 글로벌 연수 지원 등을 신규 시행한다.
세부적으로는 ▲융합형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19년 10억원, 30명) ▲의사-과학자 공동연구 지원(’19년 20억원, 8개 기관) ▲글로벌 혁신 인재 양성(’19년 60억원, 150명) ▲의료통역·코디네이터 등 전문인력 양성(’19년 16억원, 400명) 등이다.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활용, 정밀의료·재생의료 등 미래 신기술을 육성하고, 바이오헬스 산업 글로벌 진출도 지원한다.
건강보험공단·질병관리본부 등 보건의료 공공기관 간 빅데이터 연계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공익적 연구에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19년, 24억원), 유전체 분석에 기반한 맞춤형 암 치료법 등 정밀의료, 인체 세포를 활용한 재생의료 등 새로운 치료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정밀의료 R&D 2017~2021년, 총 사업비 720억원)를 확대하고 법적·제도적 기반(지난 8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에 관한 법률 발의)을 구축한다.
이와 함께 중국, 러시아·중앙아시아(신북방) 및 아세안(신남방) 국가로 중점협력국을 확대하고, 정부간 교류 및 민간 협력 프로젝트 지원(’19년, 48억원)을 통해 글로벌 진출 교두보를 마련한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