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소방관 인력 증원 등에 막대한 지원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응급의료현장에서는 인력보다 '교육'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28일 국회에서 열린 중증응급환자 사망을 줄이기 위한 응급의료체계 리폼(reform) 토론회에서 신상도 서울의대 응급의학교실 교수는 “최근 정부가 과도할 정도로 소방을 지원하면서 최근 현장에 신규 소방인력이 많이 들어왔다. 그러나 현장 경험이나 교육이 부족한 구급대원이 환자를 처치하게 되면서 위험한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단순한 소방인력 증원만으로는 응급의료현장에서 적절한 응급조치와 이송이 이뤄질 수 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응급의료체계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서는 환자의 중증도, 지역의 의료자원 등에 대한 구급대원의 경험과 지식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들의 '교육' 대한 관심은 인력이나 장비 지원에 비해 미비하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최근 복지부가 응급의료체계 개선안과 함께 '지역 맞춤형 이송지침’도 발표했다. 이 지침을 실제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데 약 500페이지나 되는 전문적인 내용이라 구급대원들이 바로 이해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며 구급대원 교육에 힘을 실을 것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그는 "교육비만 해도 막대한 예산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응급의료기금에서 교육비용을 지원하는 등 소방청과 복지부의 내실있는 협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행법상 119 구급대원은 병원 전 단계인 현장에서 외상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고 분류한 후, 적정 수준의 의료기관을 선정해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 중증외상환자들은 권역외상센터로 이송되어야만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구급대원이 환자를 잘못 이송하는 경우가 많아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감사원에 따르면 2017년 1월부터 9월까지 중증외상 기준에 부합하는 환자 4만1922명을 대상으로 실제 분류 실태를 분석한 결과 119 구급대원이 중증외상환자로 분류한 사례 중 약 60%(5714건)는 표준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7.3%는 이송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데도 적정 이송으로 평가되고 있었다.
또 2015년 119 이용환자의 부적절 이송률을 보면 심혈관계 질환자 30.7%, 뇌신경계 환자 31.9%, 중증 외상환자 44.6%가 권역응급센터 또는 상급종합병원 지역센터 이하 의료기관으로 잘못 이송된 것으로 확인됐다. 소방서별 부적절 이송률의 최대-최소비율은 65배나 달한다. 부적절한 이송은 결국 병원 전원으로 이어지고, 환자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해 사망위험을 급격히 높인다.
이미 응급의료현장에서는 구급대원의 '교육 강화'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김호중 순천향대 부천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구급대원을 많이 뽑는 것만이 답은 아니다. 중증도 분류가 어떻게 되는지 알고 적절한 병원에 이송해주는 것이 중요한 데 실제 잘 이뤄지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장에서 한 구급대원은 의식이 없는 심각한 중증응급환자를 이송하면서 '잠재응급'이라고 표시해서 오길래 이유를 물어보니 작성할 서류가 많아서라고 하더라"며 "인력을 많이 뽑는 것보다 이들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중요하다. 권역응급센터를 여러 곳 지정하거나 당장 닥터헬기를 늘리는 방법보다는 현실성있는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