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에서 전국 30%에 이르는 ‘의료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처리 규모다.
최근 논란이 된 의성군의 ‘쓰레기 산’에 이어 의료폐기물 마저 경북으로 몰리면서 쓰레기 경북의 오명이 덧씌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들 희생만 강요하는 폐기물 소각 정책을 폐기하고 근본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6일 경주와 대구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경북지역에서 전국 물량의 30%가 넘는 ‘의료폐기물’을 처리하고 있어 주민들의 고충이 가중되고 있다.
‘의료폐기물’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의 위해가 우려되는 폐기물이다, 따라서 발생된 의료폐기물은 종류별로 격리시켜 전용 용기에 담아 안전하게 소각 처리해야 한다.
환경부가 발표한 의료폐기물 발생량은 2017년 기준 21만9천톤으로 수도권이 절반(47%)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대구경북은 전국 발생량의 9%(대구4.8%·경북4.2%)에 불과하다.
이를 처리하는 의료폐기물 위탁처리업체는 올해 1월 기준 경북 3곳(경주, 고령, 경산)과 경기도 3곳(용인, 연천, 포천), 충남 2곳(천안, 논산), 충북(진천)·전남(장흥)·광주·부산·울산·경남(진주) 각 1곳 등 전국적으로 총 14곳이다.
이들 14곳 소각장에서 처리할 수 있는 량은 하루 600톤(시간당 25톤)이며, 이 가운데 경북은 3곳(시간당 8.15톤)에서 전체의 1/3 규모를 갖췄다.
대구경북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의료폐기물량에 비해 소각처리량이 전국 30%를 넘어서면서 경북으로 의료폐기물 쏠림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의료폐기물이 장거리 운반된다는 점이다.
최근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의료폐기물에 대한 장거리 이동을 제한해 감염과 전염 확산의 위험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상황이다.
그러나 의료폐기물의 이동거리가 길수록 사고 위험이나 전염 가능성이 높지만, 의료폐기물 운송차량의 사고에 대한 대비책은 미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성 높은 폐기물의 경우 한 번의 사고가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료폐기물 정책의 근본적인 틀을 '확'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주환경운동연합 이상홍 사무국장은 “의료폐기물의 4%만 배출하는 경상북도에서 30% 이상을 소각하는 구조이다 보니 주민들의 불신이 더욱 깊어지고 있는 것”이라면서 “이런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 없이 고통전담이 고착되는 것은 환경정의에 어긋나는 만큼 주민의 일방적인 희생에 기반한 잘못된 폐기물 소각 정책의 일대 변화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말했다.
안동·경주=노재현·성민규 기자 njhkukinew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