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북한·이란 등 '생크션' 외환거래 탐지시스템 고도화 나서

하나은행, 북한·이란 등 '생크션' 외환거래 탐지시스템 고도화 나서

기사승인 2019-05-30 05:00:00

KEB하나은행이 대북·이란 제재 등 미국의 생크션(제재·sanction)에 문제가 되는 외환거래를 자동으로 탐지해 내는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최근 미국 재무부가 한국의 은행들을 대상으로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 준수를 경고하는 등 ‘생션’이 은행의 주요 화두로 떠오른 영향이다.

KEB하나은행은 30일 ‘무역기반 이상거래 방지 시스템 도입을 위한 컨설팅’ 입찰 제안서 접수를 마감한다고 밝혔다. 앞서 KEB하나은행은 지난 22일 입찰 공고를 내고 24~29일까지 입찰 희망 기업을 대상으로 제안요청서를 교부했다.  

이번에 도입이 추진되는 ‘무역기반 이상거래 방지 시스템’은 그동안 은행권에 구축된 바 없는 형태다. KEB하나은행에 따르면 해당 시스템은 모뉴엘 사기대출에 활용된 허위 수출입 거래를 걸러 내는 것은 물론 글로벌 자금세탁방지(AML) 규제나 국가별 ‘생크션’에 문제가 되는 외환거래를 탐지하고 방지하는 목적으로 도입된다.

그동안 은행권의 외환거래 탐지 시스템은 국가별 필터링 수준에 머물렀다. 예를 들어 미국의 제재국가인 이란에 송금할 경우 은행은 이란이 목적지인 송금을 전산시스템으로 걸러낸다. 이후 미국의 제재 규정에 따라 해당 송금이 문제가 되는지 직원이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송금 여부를 결정했다.

은행 관계자는 “제재 대상 국가에 대한 송금이라고 해도 모든 송금을 차단할 수는 없다”며 “해당 송금이 구체적으로 제재 대상에 포함되는 지 직원의 검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작업에 많은 인원이 소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KEB하나은행이 이러한 시스템 구축에 나선 것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패권을 가지고있는 미국이 해외 은행들을 대상으로 요구하는 자금세탁방지 시스템과 생크션 준수 요구가 점차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를 준수하지 못했을 경우 은행은 존립이 흔들리는 상황까지 몰릴 수 있다.

2005년 북한의 자금유통 통로로 활용된 마카오 소재 방코델타아시아가 미국의 제재로 외환거래가 중단되면서 파산했으며, 농협은행은 지난해 미국 뉴욕 금융감독청(DFS)으로부터 자금세탁방지 이행 미흡으로 과태료 1100만달러를 부과받은 바 있다. 여기에 지난해 10월 에는 미 재무부가 직접 국내 은행들을 대상으로 대북제재 준수를 요구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여타 은행도 KEB하나은행의 이러한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KEB하나은행이 국가별 필터링 수준에 머물렀던 ‘생크션’ 탐지시스템을 얼마나 고도화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다른 은행 관계자는 “지금까지 개별 외환거래가 생크션 대상인지 가려내는 업무는 세부적인 수준까지 자동화되지 못했다”며 “하나은행이 어느 수준까지 자동화·고도화에 성공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이어 “하나은행이 높은 수준의 시스템 구축에 성공하면 나머지 은행 역시 시스템 구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
조계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