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 등 국내 대표 금융그룹이 세계적인 신용평가 회사인 무디스(Moody's)로부터 높은 수준의 신용등급을 받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정부의 지원’이 전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디스와 같은 신용평가회사의 신용등급에 따라 해외자금 조달 비용이 결정되는 신한금융과 KB금융은 알게 모르게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셈이다.
28일 각 금융사에 따르면 신한금융과 KB금융은 모두 무디스로부터 A1의 신용등급을 획득했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5월, KB금융은 이달 ‘A1’ 신용등급을 부여받았다.
A1 등급은 총 21단계 기업신용등급 가운데 위에서 5번째 등급으로 ‘중상등급 신용상태’를 의미한다. 무디스 신용등급은 1등급 Aaa(최상의 신용상태)부터 Aa1~Aa3(신용등급 우수), A1~A3(중상등급 신용상태), Baa1~Baa3(신용상태 적절) 까지 투자적격등급으로 분류된다.
무디스가 신한금융과 KB금융에 A1 등급을 부여할 때 중점적으로 본 부분은 정부의 지원 가능성이다. 신한금융과 KB금융이 부실화됐을 경우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회사를 살릴 가능성을 “매우 높다”고 본 것.
이에 따라 무디스는 신한금융과 KB금융의 신용등급을 정부의 지원 가능성을 고려해 3단계 상향했다. 신한금융과 KB금융이 한국 정부로부터 시스템적 중요은행 및 은행지주로 선정된 만큼 한국 정부의 신용등급 Aa2를 반영해 두 금융사의 신용등급을 상향했다는 설명이다.
신한금융과 KB금융에 대한 정부의 지원 가능성이 배제될 경우 두 금융지주의 신용등급은 Baa1로 하락한다. 또한 무디스는 한국 정부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경우 두 금융지주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신한금융과 KB금융은 이렇게 정부의 간접적 지원을 받아 획득한 신용등급을 바탕으로 해외에서 자금을 조달해 기업 M&A나 자회사 자본확충에 활용한다. 실제 신한금융은 지난해 무디스의 시용등급을 받고 3개월 후 국내 금융지주 처음으로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통해 5억 달러 규모의 외화자금을 조달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은행과 은행 지주의 공공성에 대해 지적하기도 한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은행이나 은행지주를 일반 회사와 같이 보는 시각이 있는데 이들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위기 상황시 정부의 자금이 언제든지 투입될 수 있다”며 “공적 책임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공적 책임을 고려해 은행이나 은행지주를 ‘기관’이라고 부르는 것”이라면서 “은행이나 은행지주는 그러한 공적책임에 기반해 국민에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