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손실구간에 진입한 KEB하나은행의 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와 관련해 내부직원들이 손실 가능성을 인지하고 관련 대책을 회사 측에 요구해 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금융노조 하나은행 지부는 21일 성명서를 통해 “금리 하락 추세가 심각함을 감지한 자산관리 직원(PB)들이 4월부터 발행사인 하나금융투자가 콜옵션(매수청구권)을 행사하거나 고객이 손절매할 수 있도록 환매수수료를 감면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해 달라고 회사 측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어 “6월부터는 해당 상품의 민원발생 가능성을 인지하고 PB면담, PB포럼 등 현장 의견을 수렴하여 담당 임원에게 우려 전달 및 보호대책 마련을 요구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하지만 경영진은 자본시장법 위배 가능성, 중도 환매수수료를 우대했을 때 다른 고객 수익에 미치는 영향, 배임 우려 등을 내세우며 안일한 대응으로 현재에 이르렀다”며 “심지어 상품 발매 시 장점으로 부각했던 콜옵션기능도 발행사의 권한이라는 이유로 대응에 전혀 도움되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이달 7일 기준 하나은행이 판매한 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3876억원 가운데 현재 85% 가량이 손실구간에 진입했으며, 예상 손실률은 56%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태가 공론화된 이후 은행 경영진의 대응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특히 지성규 행장의 대응이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노조는 “현재 벌어진 사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행장, 판매영업점 지점장, 본부장이 함께 참여하는 회의 소집을 요구했으나 회사 측은 이마저도 외면했다”며 “사태가 벌어지자 직접 발벗고 나서는 타행 수장과 대조적으로 하나은행 수장은 아직도 전면에 나서고 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노조는 “금융사들이 파생상품 비율을 낮추는 상황에서 국내 4대 금융지주 전체 파생상품의 40%가 하나금융에 집중돼 있다”며 하나금융지주 경영진의 책임도 따져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