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두건 연달아 발생한 것과 관련, 정부가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지만, 감염 경로 파악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확진 판정을 받은 경기도 파주 농가에 이어 이날 오전 확진된 연천 농가 역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할 특별한 의심 사유는 찾아볼 수 없는 상태다.
일반적으로 ASF의 발생 원인으로는 ▲바이러스가 들어 있는 남은 음식물을 먹이거나 ▲농장 관계자가 발병국을 다녀왔거나 ▲야생 멧돼지가 바이러스를 옮기는 경우 등이 꼽힌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연천 발생 농장은 파주와 마찬가지로 잔반을 급여하지 않는다"며 "울타리도 설치돼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하고 있다"며 "구제역은 공기 전파가 되지만,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어떻게든 접촉을 해야 감염되기 때문에 (특정한 가능성을) 예단해서 말하기는 어렵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야생 멧돼지에 대해서도 당국은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휴전선에 철책이 설치돼 있고 감시 카메라 등이 있어 국방부에서 넘어오는 야생멧돼지를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며 "북쪽에서 넘어온 멧돼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당국이 진행 중인 역학조사는 최대 6개월까지 시간이 걸려 하루 사이에 잇따라 터진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파 경로가 확인되려면 상당한 시일이 걸릴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 관계자 역시 "파악한 바로는 첫 발병 파주 농장과 이날 확진된 연천 농장 간 분뇨·사료 등 차량 이동은 없었다"며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볼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앞서 5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먼저 발병한 북한과의 관련성을 의심하는 시각도 있다. 이번 두 건의 발생 지역이 모두 휴전선 인근 접경지역인 것.
하지만 환경부는 전날 ASF가 발생한 파주 농가 주변을 점검한 결과, 야생멧돼지 전염에 의한 발병 소지는 희박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환경부는 "해당 지역은 신도시 인근 평야 지대로, 멧돼지 서식 가능성이 작다"며 "임진강 하구 한강 합류 지점과 10㎞ 이상 떨어져 있어 한강을 거슬러 북한 멧돼지가 유입됐을 가능성도 작다"고 말했다.
한전진 기자 ist1076@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