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대출 규제에도 고령층의 대출 쏠림 문제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줄어드는 고령층이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면서 대출 건전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30대 이하 차주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2015∼2016년 13.5%에서 2017∼2019년 3분기 7.6%로 낮아졌다. 40대(9.3%→3.3%)와 50대(9.3%→4.4%)의 같은 기간 증가율도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60대 이상 고령층의 증가율도 같은 기간 하락했다. 다만 증가율 하락이 15.5%에서 9.9%에 그치면서 여타 연령대의 증가율 하락 수준에는 미치지 못 했다.
한은은 이를 두고 2017년 이후에도 60대 이상에서는 가계대출 증가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것으로 평가했다.
고령층의 가계대출 증가율 하락이 여타 연령대 보다 낮은 것은 부동산 투자 및 인구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실제 부동산 임대 가구의 전체 금융부채 가운데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19.7%에서 지난해 27.4%로 증가했다. 자영업자 가계대출 중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 말 16.0%에서 올해 3분기 21.7%로 올라갔다.
한은은 소득이 줄어드는 고령층의 부채가 소득 대비 지나친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60대 이상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212.6%로, 40대(182.2%) 및 50대(164.4%) 보다 높게 나타났다. 60대 이상의 부채가 현재 금융 시스템에 직접적인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경기 상황 변동에 따라 잠재리스크로 작용한다는 경고다.
특히 60대 이상 고령층의 가계대출이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에 53.6%나 멀려 있는 점도 우려의 대상이다.
한은은 이에 따라 고령층의 부채구조를 질적으로 개선하고 채무상환능력을 높이는 방식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