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8일 (목)
코로나맵→코로나알리미, 대학생들이 나섰다

코로나맵→코로나알리미, 대학생들이 나섰다

기사승인 2020-02-04 07:48:07 업데이트 2020-02-04 07:58:5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 확진자 이동 경로나 발병 장소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과 유튜브 등의 사이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고려대 소프트웨어 벤처학회 멤버 4명이 만든 ‘코로나 알리미’(corona-nearby.com)는 위치기반서비스(GPS)를 이용해 자신이 있는 곳이 확진자가 지나간 곳인지를 한번에 알 수 있다.

또 목적지를 입력하면 그 주변에도 확진자의 이동경로가 표시된다. 여기에 질병관리본부가 지정한 진료소 500여 곳이 어디에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2일 서비스를 시작한 후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또 다른 대학생 1명이 만든 '코로나맵'에도 이용자가 몰리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방문했던 곳을 알려주는 사이트다.

지난달 30일부터 운영된 이 사이트에, 나흘 만에 누적 접속자 수가 600만 명을 넘어섰다.

김미정 기자 skyfall@kukinews.com

김미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생각하면 말하고 걷는다”…상용화 다가선 BCI 기술

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마비 환자의 소통이나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기술이 미국에서 첫 허가를 받으며 상용화 물꼬를 텄다. 한국은 BCI 국제 가이드라인 구축을 주도하며 산업 기반을 다지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BCI는 뇌파를 통해 인간의 의도를 컴퓨터, 로봇 등 외부 기기로 전달한다. 신체 기능을 복원하기도 한다. 뇌에 전극을 이식하거나 두피에 센서를 부착해 생각을 읽어 문자 입력,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