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1일 (수)
코로나19 여파로 건강검진자 100만 명 줄었다

코로나19 여파로 건강검진자 100만 명 줄었다

기사승인 2020-04-25 00:00:01 업데이트 2020-04-25 15:39:14

[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코로나19의 여파로 건강검진 검진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0만명 가량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확인한 통계와 취재를 종합하면, 올해 1월1일부터 4월22일까지 일반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수는 155만651명이며, 암 검진을 받은 이들은 166만8520명으로 나타났다. 작년 동기간에 일반검진은 248만37명이, 암검진은 253만4308명이 받은 것을 감안하면, 일반검진과 암검진은 각각 92만명, 86만명이 줄어든 것이다. 수검률을 보면, 일반검진은 2019년 11.6%에서 올해 7.2%로 4.4%p가 감소했고, 암검진은 10.6%에서 7.0%로 3.6%p 줄어든 수치다. 

대다수 전문가들이 코로나19의 장기화 및 재유행을 전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선 의료현장의 체감도는 앞선 수치를 뛰어넘는다. A의료기관 관계자는 “전년보다 적게는 20% 가량 감소한 것 같다”며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 우려가 컸던 2, 3월 감소폭이 컸다”고 밝혔다. B의료기관 직원도 “(검진자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일반 건강검진은 ▲지역 세대주 ▲직장 가입자 ▲만 20세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만19세~64세 의료급여수급권자라면 2년마다 1회 받게 되어 있고, 비사무직은 매년 검진을 받아야 한다. 건강보험 가입자는 건보공단에서 비용을 전액 부담하고,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국가 및 지자체가 비용을 댄다. 기간은 매년 12월31일까지 정해져 있고 검진 기간 연장은 없다. 

다만, 전년도 미수검자가 공단에 요청하면 금년도 검진대상으로 추가등록은 할 수 있다. 암 검진은 대상자의 나이와 검사 주기가 조금씩 달라진다. 위암·간암·대장암·유방암·자궁경부암·폐암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검진비는 공단이 90%, 수검자가 10% 부담하게 된다. 건강보험료가 일정 기준 이하이면 본인부담금 10%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한다. 

직장인이 건강검진을 받지 않으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정당한 사유 없이 건강검진을 받지 않았다면 회사는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근로자는 위반 횟수에 따라 1회 차 위반 시 5만 원, 2차에는 10만 원, 3차에는 15만 원 등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 할 수도 있어 하반기까지 미루지 말고 시간 날 때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한편, 지난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사태로 건강검진을 받지 못한 인원을 위해 한시적으로 다음 해 3월까지 과태료를 면제하는 방안이 추진됐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나 재유행에 대비해 이와 같은 조치가 이뤄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nswreal@kukinews.com

노상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2차전지株 ‘52주 최저가’ 행진, 반등 시점도 ‘묘연’

국내 2차전지 관련주들의 주가가 하락세다. 대표 종목들은 52주 최저가를 기록했다. 미국 하원의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를 담은 제안서 발표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증권가에서는 해당 제안서가 확정될 경우 2차전지 관련주들의 역성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본다.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국내 2차전지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12% 하락한 27만9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장중 52주 최저가인 27만8000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