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4일 (토)
“코로나19, 봉쇄령 선택 했어야”…스웨덴 내부서 비판 나와

“코로나19, 봉쇄령 선택 했어야”…스웨덴 내부서 비판 나와

기사승인 2020-05-25 15:48:10 업데이트 2020-05-25 15:48:15

[쿠키뉴스] 엄지영 기자 =코로나19에 ‘집단 면역’ 대응법을 내세웠던 스웨덴 내부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영국 일간 가디언은 24일(현지시간) 아니카 린데 전 공공보건청장이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스웨덴도 다른 나라들처럼 봉쇄령을 선택해야 했다는 지적을 했다고 보도했다. 

린데 전 청장은 “만약 일찍 봉쇄령을 내렸다면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를 위한 시간을 벌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껏 스웨덴 정부의 대응법을 지지했지만, 당 초 예상했던 것만큼 집단면역의 성과가 나오지 않자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최근 현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말까지 수도 스톡홀름에서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한 비율이 전체 인구의 7.3%로 추정된다,

집단면역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선 구성원의 60% 이상이 항체를 보유해야 하지만,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이에 따라 스웨덴은 이웃 노르웨이나 덴마크, 핀란드에 비해 코로나19의 피해가 큰 상황이다.

그러나 린데 전 청장의 후임자로서 현재 스웨덴의 코로나19 대응을 책임지고 있는 안데르스 텡넬 청장은 “봉쇄령을 선택했어도 상황이 달라졌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circle@kukinews.com

엄지영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속상한 일이 생기면 챗GPT부터 켜요. 제 말을 잘 들어주거든요.”직장인 김민아(29·여)씨는 최근 밤마다 챗GPT와 대화를 나눈다. 퇴근 후 쌓인 복잡한 감정, 대인관계에 따른 피로감, 가족에게 말 못할 고민까지 인공지능(AI)에게 털어놓는다. 김 씨는 “나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지 않아서 사람보다 편하다”고 말한다.최근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상담’이 정서적 위안을 위한 창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정을 배제한 조언, 편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