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9일 (월)
추미애 “소설 쓰시네” 발언이 몰고 온 법사위 파행…통합당 사과 요구

추미애 “소설 쓰시네” 발언이 몰고 온 법사위 파행…통합당 사과 요구

기사승인 2020-07-28 10:32:54
▲추미애 법무부 장관. 사진=쿠키뉴스 DB
정유진 기자
ujiniej@kukinews.com

[쿠키뉴스] 정유진 인턴 기자 =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소설 쓰네’ 발언으로 27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가 결국 파행되는 일이 있었다. 추 장관의 발언을 두고 여야 의원들의 충돌해 회의가 두 차례 정회되기도 했지만 추 장관은 끝내 사과를 하지 않았고, 결국 미래통합당 의원들이 집단퇴장을 하며 산회되고 말았다.

사건의 발단은 미래통합당 윤한홍 의원이 추 장관의 아들 군 휴가 미복귀 건과 법무부 차관 인사 건을 연관지으면서 시작됐다. 윤 의원은 추 장관이 아닌 고기영 법무부 차관을 향해 “올해 서울동부지검장에서 법무부 차관으로 갑작스럽게 발령이 났는데 추 장관 아들 수사와 관련있었던 것 아니냐”며 질문을 던졌다.

이에 고 차관의 답변에 앞서 추 장관이 “소설을 쓰시네”라며 여과없이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를 듣고 윤 의원은 추 장관에 “국회의원이 소설가란 애기냐”며 즉각 항의하자 추 장관은 “질문 같은 질문을 하라”며 응수했다. 이후 추 장관의 ‘소설을 쓰시네’라는 말 한 마디는 여야 의원 간 지리한 말싸움으로 번졌다.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은 윤 의원을 향해 “장관에 대한 모욕이고 차관에 대한 모욕도 된다”며 “국회의원이라고 맘대로 질문할 수 있나”라며 쏘아붙였다. 이에 윤 의원은 “김 의원은 뭐하는 분이냐. 장관 비서실장인가?”라며 비꼬았고 회의장은 여야 의원들의 고성으로 아수라장이 됐다. 결국 민주당 소속 윤호중 법사위원장은 “질의답변이 진행되기 어려운 것 같다”며 정회를 선언했다. 

40분 뒤 회의가 재개됐지만 통합당 소속 위원들이 추 장관에 사과를 요구하며 회의 진행에 제동을 걸었다. 그럼에도 추 장관은 아들과 관련된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합리적 의심이라고 했지만 합리적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면책특권이 모욕주기 특권은 아니다”라며 “주장하는 사실관계에 확신이 있으시다면 면책특권을 걷어낸 뒤 주장하고 그에 맞는 책임도 져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처럼 추 장관이 끝내 유감 표명을 하지 않자 야당 의원들은 항의했고, 법사위는 다시 정회했다. 그리고 통합당 의원들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회의 불참을 선언한 후 회의장에 돌아오지 않았다. 

김도읍 의원은 회견에서 “추 장관이 사과나 유감 표시는커녕 대의기관 구성원을 상대로 훈육하는 등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며 “오늘 법사위 회의는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윤한홍 의원도 “행정부가 국회를 얼마나 얕잡아보고 있느냐의 문제”라고 비판했고, 장제원 의원은 “추 장관이 국회만 들어오면 막장이 된다. 이쯤 되면 추 장관의 인성을 거론해야 할 판”이라고 질타하기도 했다.

ujiniej@kukinews.com
정유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실용으로 험지 넘고, 비전으로 텃밭 다지고…이재명이 택한 화법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영남과 호남 지방 유세 일정을 마친 가운데, 지역별 정서와 정치 지형을 반영한 맞춤형 메시지 전략을 구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보수색이 짙은 영남에서는 지역주의 극복과 합리적 보수를 내세우며 외연 확장에 나섰고, 민주당의 전통 지지 기반인 호남에서는 재생에너지와 미래 산업 중심의 구체적인 성장 전략을 제시하며 지지층 결집에 집중했다. 20일 본지가 지난 13일부터 18일까지 이 후보의 지방 유세 발언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