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레드존과 클린존으로 구역을 나눠 방문객들의 동선을 구분했습니다.”
“공항에서 연락이 오면 바로 준비를 시작합니다. 5~10분이면 입소자들이 도착합니다.”
“국방부 직원이 2시간씩 교대하며 24시간 동안 CCTV를 확인합니다.”
“임시생활시설은 우리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곳입니다.”
임시생활시설 정부합동지원단 관계자들은 지난 5일 인천 소재 임시생활시설을 방문한 보건복지부 출입기자단에게 이같이 말했다. 최근 해외 입국자의 코로나19 확진사례가 늘면서 임시생활시설 운영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주민들은 무단이탈자 등을 통한 지역 전파를 우려하며 시설운영 및 확충을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 해외입국관리반장을 맡고 있는 고득영 반장은 “임시생활시설 운영 중 단 한 명의 감염자도 발생하지 않았고, 정부합동지원단이 24시간 감시를 통해 지역사회 전파를 일선에서 막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자단이 방문한 임시생활시설은 인천국제공항에서 5분 거리에 떨어져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총 54명의 정부합동지원단과 민간 위탁업체가 상주해있다. 지원단은 단장 하에 10개 기관, 7개 반으로 구성됐다. 보건복지부(건강보험공단 포함) 8명, 경찰청 13명, 국방부 16명, 의료진 10명, 법무부 3명, 행안부 1명, 환경부 1명, 소방청 1명, 인천시 1명 등이다. 반은 운영총괄반, 의료심리지원반, 시설관리반, 구조‧구급반, 질서유지반 등으로 구성됐다.
장‧단기 입소자를 받고 있는 이 시설 내 격리자는 이날 기준 총 259명으로, 전체 453객실 중 246실이 사용되고 있었다. 지금까지 이 시설을 이용한 입소자는 2323명, 퇴소자는 2064명이다. 장기 입소자 대상은 단기체류 외국인 입국자(사증면제(B-1), 관광통과(B-2), 일시취재(C-1), 단기방문(C-3), 단기취업(C-4)) 또는 임시대기시설 대기자 중 음성판정을 받은 단기체류 외국인이다. 이들은 입국일부터 14박 15일간 격리된다. 단기 입소자는 외교나 공무 목적으로 방문했거나 격리면제서 발급자인 경우이며, 이들은 진단검사결과 확인 시까지 1박2일간 시설에서 대기한다.
시설 배정은 무작위이다. 공항에서 연락을 받는 즉시 지원단은 입소 준비에 들어간다.
기자단은 이날 신규 입소자가 없는 관계로 감염병 전신보호복(레벨D)를 입는 대신 일회용 비닐 가운과 헤어캡, 장갑을 착용하고 입소 과정을 시뮬레이션했다. 시설로 오는 입국자들은 공항 검역에서 걸러지지 않은 무증상자일수도 있기 때문에 레벨D를 착용하는 게 원칙이다. 2층에 위치한 레벨D 착용 공간은 5~6명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레벨D 구성품인 속장갑, 보호복, 덧신, N95 마스크, 고글, 겉장갑 등이 있었다. 핸드폰은 일회용 봉투에 담아 보호해야 한다.
입소장이 있는 1층은 주황색 테이프와 노란색 테이프로 동선을 구분해 놨다. 주황색은 입국자가 이동하는 레드존, 노란색은 일반 방문객이 다닐 수 있는 클린존이다. 해당 시설로 인계된 입소자들은 버스로 이송되며, 한 번에 최대 20명이 탑승할 수 있다. 버스에서 내리면 1층 입소장 옆 검체채취실로 이동한다. 방호복을 갖춰 입은 의료진이 발열체크와 검체채취를 끝내면 입소자들은 거리두기를 지키며 입소장으로 향한다. 입구에는 한국어,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베트남어, 프랑스어, 필리핀어 등 7개 언어로 출력된 건강상태질의서 및 시설격리 동의서와 서류 작성을 위한 책상이 놓여 있다. 기저질환 유무나 의약품 복용 여부 등을 확인하는 건강상태질의서는 모두 영어로 되어 있고 동의서는 각 언어로 설명돼 있다.
서류작성이 끝나면 자가진단 앱(APP)을 설치한 후 섹션 1으로 이동한다. 1에서는 의료진(공보의)이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2에서는 법무부가 자가진단 앱 설치 여부를 확인한 후 퇴소 안내를 돕는다. 섹션 3에서는 복지부가 여권스캔 등을 통한 신원 확인을 실시하고, 자가격리 기간 중 사용할 폐기물 봉투 및 자가진단키트(마스크, 손소독제, 체온계, 안내문 등)를 지급한 후 방을 배정한다. 모든 과정은 영어로 진행되고, 필요시 전문위탁업체가 통역을 지원한다.
이어 4에서는 전문위탁업체가 격리 비용 수납을 진행한다. 격리비용은 1일 12만으로, 14일간 총 168만원을 한 번에 지급해야 한다. 가격은 지난 6월 25일 인상됐다. 민간 인력을 활용하면서 금액 인상이 불가피해졌기 때문. 중수본은 시설에 따라 최대 15만원까지 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
4단계에서는 입소자가 입소기간 중 먹게 될 식품도 고를 수 있다. 음식은 일반 음식(Normal Food), 돼지고기 없는 음식(Pork-free Food), 채식(Vegetarian Food) 등으로 구분하고, 채식의 경우에도 일반, 인도식, 비건 중에서 고를 수 있다.
최대 20명이 입소한다고 가정하면 섹션 1~4 과정에서 대략 1시간 20분 정도 소요된다. 이 과정이 끝나면 한 명씩 좌측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본인이 배정받은 방으로 이동한다. 나머지 엘리베이터들은 모두 폐쇄했다.
이날은 12층에 있는 1253호실을 방문했다. 창문이 열리지 않는 구조여서 공조시스템으로 환기를 하고 있었고, 침대 2개와 화장실, 테이블 등이 딸려 있었다. 세탁과 건조는 본인이 해야 하기 때문에 세탁비누가 지급된다. 원칙은 1인 1실이지만 미성년 자녀를 동반할 경우에는 가족이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방도 무작위로 배정되지만 가족 단위의 입소자에게 더 큰 방이 배정된다. 이들은 자가진단 앱 기록과는 별로도 하루 두 번 체온을 체크하고 수기로 작성해야 한다. 의무팀은 매일 한 번씩 방문해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호흡기 증상이 있거나 체온이 37.5도 이상이면 소방청에서 의료기관 이송을 돕는다. 시설 격리 중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는 8월 4일까지 총 18명이다.
입소되는 직후부터 격리자들은 폐기물을 버릴 때를 제외하고 문을 열 수 없다. 폐기물 수거는 환경관리공단이 매일 18시 30분~19시에 실시한다. 각 층의 복도에는 6개의 CCTV가 설치돼 있는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황실에서 즉각 확인할 수 있다. 상황실에서는 국방부 직원 2명이 2시간씩 교대를 하며 24시간 동안 CCTV를 확인한다. 방에서 이탈하는 사례 대부분은 폐기물을 버리다가 문이 닫혀 의도치 않게 이탈하는 경우이지만, 배식을 하면서도 틈틈이 재실 여부를 확인한다. 배식도 국방부 지원단이 담당한다.
격리시설에서 나가기 위해서는 1층 입소장 내 보호복 탈의 구역으로 가야 한다. 보호복을 벗을 땐 보호복에 묻은 오염물질이 손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우선 티슈를 뽑아 소독액 펌프를 잡고 누른 후 장갑을 낀 손을 닦고, 핸드폰이 들어 있는 비닐봉투에 소독제를 뿌린 후 꺼내 봉투는 버린다. 또 티슈를 뽑아 소독액 펌프를 잡고 누른 후 가운을 벗고, 같은 방식으로 헤어캡과 장갑까지 벗고 난 후 마지막으로 손 소독 후 클린존으로 이동하면 된다.
해당 시설을 포함해 전국 9개 임시생활시설에 있는 중수본 합동지원단은 총 393명이다. 이들은 2~3주마다 교대하면서 입소자들을 관리하고 있다. 지난 달 23일 방역강화 국가 6곳이 지정된 이후 입소자 수가 줄고 있긴 하지만 무단이탈 사례 방지를 위해 관리‧감독은 더 강화됐다. 특히 베트남 국적의 입소자가 무단이탈한 시설은 경계면을 강화하고 경계인력을 6명 증원했다. 참고로 임시생활시설 신규 입소자(일 평균 입소자)는 7월19일~25일 1945명(278명)에서 26일~8월1일 996명(143명)으로 감소했다.
배수미 임시생활시설단장은 “정부합동지원단 운영은 해외유입 감염의 지역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힘들더라도 국민의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어느 지역이든 시설 운영을 반대하는 주민들은 있다”고 말했다.
고득영 반장은 “주민들도 속사정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주민들이 이해해주길 바라는 게 가장 큰 어려움이다. 실제로는 유출을 막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고, 격리시설이 아닌 것처럼 지자체명도 잘 안 내보내려고 한다. 그런데 시위 등을 통해 문제제기를 하면 운영도, 지원단들도 힘들다”고 호소했다.
그는 “무단이탈을 막기 위해 CCTV 확충 등 감시를 강화했고, 무증상자의 감염력 등을 확인하기 위해 입소 10일차, 14일차에 진단검사도 실시한다”며 “지금까지 단 한 명의 (임시생활시설을 통한 지역사회) 감염자도 없었고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외국인을 왜 우리 시설에서 보호하느냐고 오해하는 분들이 있는데, 이렇게 하는 것이 주민과 우리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suin92710@kukinews.com
Copyright © KUKI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