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낙태죄 ‘망언’논란 확산일로… 기본소득당도 ‘참전’

김남국 낙태죄 ‘망언’논란 확산일로… 기본소득당도 ‘참전’

기사승인 2020-12-10 17:09:25
사진=김남국 의원실

[쿠키뉴스] 오준엽 기자 =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언행이 소수정당 여성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연일 논란이다. 김 의원이 정의당과의 공방을 이어가는 가운데 기본소득당도 공방에 뛰어들었다.

기본소득당 젠더정치특별위원회 신민주 위원장은 10일 “김 의원이 여성인권을 100보는 후퇴시키고, 사적복수와 협박을 일삼았으며, 고인인 노회찬 의원을 모독하는 등 젠더갈등과 정치혐오를 부추기고 있다”고 혹평하며 사과와 반성을 촉구했다. 이는 정의당 대변인단과의 설전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나온 김 의원의 언행을 문제 삼은 것이다.

이같은 논란의 시작은 8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진행된 ‘낙태죄 관련 형법개정안 공청회’에서 김 의원이 입에 담은 말들로부터다. 당시 김 의원은 김정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에게 “20·30 남성의 인식을 알고 싶다”는 질문을 던졌다. 안그래도 공청회 참여 전문가 6명 중 여성의 입장을 대변할 인물이 2명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이란 비난이 쏟아진 와중이다.

심지어 질문에 당황한 김 부연구위원이 “2030 남성들도 낙태죄가 유지되는 것이 적절하지 못하다는데 동의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답한 발언에 “그게 주류의 시각이나 평가이겠냐”고 되묻기도 했다. 낙태죄 폐지 논쟁의 핵심인 여성의 자기결정권과는 동떨어진 남성의 인식을 묻고, 마치 젊은 남성들도 폐지를 동의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해석될 말을 질문형태로 던진 셈이다.

이에 여성인권문제를 주요사안으로 다루는 정의당이 즉각 반발했다. 조혜민 대변인은 이날 “여성들의 삶을 짓밟은 어이없는 망언”이라며 “여성들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해 발표할 진술인은 단 2명에 불과한 자리였고, 공청회에서 오간 이야기는 여성들의 현실이 아니었다. 여성의 권리이자 안전의 문제로 이야기돼야 한다”고 논평했다.

기본소득당 신민주 젠더정책특별위원회 위원장. 사진=조진수 기자

문제는 이후 김 의원의 반응이다. 9일 정호진 정의당 수석대변인의 브리핑에 따르면 김 의원은 조 대변인의 브리핑을 두고 항의전화를 걸었고, 정정을 요청했다. 이 과정에서 낙태죄 폐지는 물론 정의당이 매진하고 있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중대재해법) 제정 등 정의당의 활동에 도움을 주지 않겠다는 압력까지 행사했다.

이와 관련 당사자인 조 대변인은 “폭력이라 할 수 있는 압박감과 두려움, 무서움을 느꼈다”고도 했다. 이를 두고 정 수석대변인은 “방식은 집권여당 국회의원이 맞는지 의심케할 정도로 매우 부적절했고, 국민의 삶과 직결된 법안을 인질 삼아 압력을 행사한 믿기 어려운 명백한 갑질”이라고 규정한 후 법적대응을 언급하며 민주당 차원의 합당한 조치를 요구했다.

그러나 김 의원의 반응은 사과가 아닌 역공이었다. 그는 9일 페이스북 글을 통해 “피해자의 사과 요구를 ‘갑질 폭력’으로 매도하다니, 정의당이 어쩌다 이렇게 망가졌는지 모르겠다”거나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았던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악의적으로 왜곡한 논평으로 폭력을 자행한 정의당의 책임 있는 사과를 요청한다”고 받아쳤다.

그럼에도 논란이 계속되자 김 의원은 10일 역시 페이스북에 ‘정의당의 노회찬 의원님께서 말씀하신 6311번 버스에는 여성도 타고 있었고, 남성도 타고 있었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남성은 낙태죄에 대해 질문이나 의견도 가질 수 없다는 정의당 논평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고 전날의 논란에 항변했다.

나아가 “제의 본질과 상관없이 모든 문제를 ‘남녀갈등’의 시각에서 남녀를 분열시키고, 남성혐오를 정치에 이용하는 게 정의당의 정의냐”면서 “이건 정의가 아니라 또 다른 유형의 폭력”이라고 반박했다. 덧붙여 “남성도 공포감을 느낀다. 정의당의 논평이야 말로 타인에게 공포감을 주는 협박이자 갑질”이라고 질타했다.

한편 김 의원과 정의당 대변인단간 설전은 기본소득당에 정의당 지도부까지 나서며 더욱 확산될 조짐이다. 박인숙 부대표는 10일 상무위원회의에서 “또 다시 수많은 여성들의 외침이 국회 담장을 넘지 못하거나 왜곡 변형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김 의원의 망언에 대한 즉각적인 사과를 촉구했다. 하지만 민주당과 김 의원은 사과도 반응도 하지 않고 있다.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