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조현지 기자 =유일한 대권 유력주자로까지 평가됐던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풍문으로 떠돌던 ‘이대만(이러다 대표까지만)’이라는 단어가 현실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쿠키뉴스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한길리서치가 지난달 5~7일 사흘간 전국 만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차기대선주자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 대표는 18.0%의 지지를 받으며 3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위는 윤석열 검찰총장(28.2%), 2위는 이재명 경기도지사(21.3%)가 차지했다.
불과 1년 새 ‘이낙연 대세론’이 꺼져가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해 2월 7·8·10일 같은 여론조사기관인 한길리서치가 전국 만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차기대선주자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28.8%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2위인 자유한국당 황교안 전 대표(14.9%)와는 2배 가량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 지사(5.7%)는 약 5배 이상의 격차로 따돌렸던 것과 극명히 대비된다. 보다 자세한 여론조사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 대표의 지지율 이탈 현상은 왜 나타나게 됐을까. 이를 두고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이 대표와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궤를 같이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그리고 이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초대 총리로서 정권의 초석을 닦고 정책 대부분의 틀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많은 논란과 갈등을 낳았던 ‘검찰개혁’과 ‘부동산 개혁’, ‘소득주도형 경제성장’도 초대 총리였던 이 대표의 기조와 진두지휘의 작품이다.
‘부동산 개혁’의 키를 잡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임명은 이 대표의 총리 임기 직후 이뤄졌다. 검찰개혁의 핵심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출범도 이 대표가 국회로 와 직접 마무리 지었다. 이후 ‘검찰개혁 시즌2’를 천명하며 검찰의 기소권과 수사권 완전분리 등을 골자로 하는 추가 입법을 이 대표가 직접 챙기고 있다.
문 정권의 실정이 임기 말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초대 총리였던 이 대표가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더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 정부의 경제기조인 ‘소득주도성장’이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민심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노선이 불분명한 이 대표의 ‘당 대표직’ 행보도 족쇄로 꼽힌다.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파트너 ‘최장수 총리’라는 기대를 한몸에 받으며 등판했지만 잇단 실언·실책으로 외려 당 지지율을 깎아먹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어서다. 지지자들은 ‘사이다’를 원했지만 별 다른 득점포인트를 만들지 못한 채 임기 절반을 흘려보냈다.
특히 이른바 ‘추·윤 갈등’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의 직무배제와 관련해 ‘국정조사’를 요구했다가 당 내 반발에 직면한 리더십이 크게 흔들렸다. 이 대표가 제안한 ‘국정조사’에 야당이 ‘환영’ 입장을 보여 ‘자충수’를 뒀다는 비판에 직면한 것이다.
더구나 ‘호남 대망론’으로 강한 힘을 받고 있던 이 대표는 최근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면론’을 꺼내들었다가 역풍을 맞기도 했다. 호남 내에서도 이 대표의 지지를 철회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당원 게시판에는 이 대표의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논란이 커지자 이 대표는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에 ‘사과와 반성’이라는 조건을 달며 한발 물러섰다.
‘국민통합론’을 띄우며 국면 전환을 노렸지만 오히려 ‘국민 분열’을 조장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에 대한 찬·반 의견이 올라와 극심한 의견대립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놓고 유창선 정치평론가는 “‘추·윤 갈등’이 통합의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었던 기회였지만 이 대표는 부채질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민 통합을 위해 사면을 꺼내니 공감을 얻을 수 없는 것”이라고 혹평했다.
이에 4·7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가 이 대표의 대권 운명을 가를 변수로 꼽히고 있다. 보선에서 민주당이 승리를 거머쥘 경우 이 대표의 리더십이 증명돼 대선가도에 ‘청신호’가 켜질 가능성이 크다. 다만, 현재로써는 야당의 승리 전망이 더 우세해 이 대표의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hyeonzi@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