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4일 (수)
삼성준법위, '이재용 취업제한' 논의 중···'결론' 주시

삼성준법위, '이재용 취업제한' 논의 중···'결론' 주시

취업제한 해석 '분분' 결론 낼지 미지수
삼성 "회사 상황과 법 규정에 따라 검토"

기사승인 2021-03-19 15:57:40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사진=박태현 기자)
윤은식 기자
eunsik80@kukinews.com
[쿠키뉴스] 윤은식 기자 =삼성준법감시위원회(준법감시위)가 19일 정기회의를 열고 이재용 부회장의 취업제한 문제를 논의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준법감시위는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서울 서초동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정기회의를 열고 내부거래, 대외후원금 지출 등 정기 안건과 이 부회장에 대한 취업제한을 논의 중이다. 이번 회의는 이날 오후 대여섯시께 종료될 것으로 보인다.

준법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의 취업제한 논의 여부에 대해 '회의 중'이라고 짤막한 답변을 했다.

이 부회장의 취업제한은 법무부의 통보에 의해 이뤄졌다. 현재 국정농단 사건으로 실형을 선고받고 수감 중인 이 부회장은 현행 특정경제가중처벌법 규정에 의해 5년간 취업이 제한된다.

이법 14조는 5억원 이상 횡령 또는 배임 등 범행을 저지르면 징역형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않기로 확정된 날부터 기업에 5년간 취업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부회장은 내년 상반기께 형기를 다 마치고 출소해도 당장 경영복귀에는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지난 17일 삼성전자 주주총회장에서도 이 부회장에 대한 취업제한과 부회장직 해임을 놓고 시민단체 소속 주주와 일반 주주와 갑론을박이 이어지기도 했다.

시민단체 소속 주주는 "이 부회장이 상근에서 비상근으로 변경됐을쁜 여전히 미등기 임원"이라며 "(이는)취업제한을 위반한 것이므로 이사회에서 이 부회장에 대한 해임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부회장을 옹호하는 주주는 "삼성은 대한민국이다. 좋은 일을 하고도 감방엘 갔다. 땅을 치고 통곡할 노릇"이라며 "우리나라가 이렇게 가면 안된다. 이 부회장은 그 자리를 지켜야 한다"고 받아쳤다.

주주들 간 갑론을박이 이어지자 그간 이 부회장의 취업제한과 관련해 입장을 내놓지 않았던 삼성은 이날 주총에서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

김기남 부회장은 이 부회장의 부회장직 해임과 취업제한에 대해 "글로벌 네트워크나 미래사업 결정 등 이 부회장의 역할을 충분히 고려해 회사의 상황과 법규정 등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 부회장의 취업제한을 놓고 이견을 달리한다. 법 규정상 취업제한은 '형 집행 종료 시"라고 명시돼 있어 현재 형 집행 중인 이 부회장에게는 법 적용이 안된다는 논리다. 또 이 부회장은 2년 전 부터 무보수 미등기 임원 상태여서 취업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반면, 시민단체 등은 실형을 받고 수감된 이 부회장이 부회장직을 내려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준법감시위 위원 중 일부도 이런 논리와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업계와 시민단체, 준법위원들 사이에서도 '취업제한'의 해석이 분분한 이상 이날 회의에서도 결론이 날지는 미지수다.

한편 준법감시위는 지난달 16일 정기회의에서도 이 부회장에 대한 취업제한 문제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eunsik80@kukinews.com
윤은식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희귀난치성 환자, 의약품 ‘면세’ 길 열리나…“생존권 보장해야”

#은 기존 의 줄임말로 법안에 대해 쉽게 풀어낸 새로운 코너입니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겠다는 22대 국회의원들의 법안들을 편하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희귀난치성 환자의 ‘자가의약품’ 세금이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가의약품은 희소성으로 가격이 높아 관련 세금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현행법은 희귀난치성 환자의 자가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세금을 같은 수준으로 책정하고 있다.13일 정치권에 따르면 희귀난치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