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란·패닉 미얀마’ 금융업계, 韓직원 속속 귀가…남은 이들은

‘혼란·패닉 미얀마’ 금융업계, 韓직원 속속 귀가…남은 이들은

최소 인원 유지·재택근무 조치…주재원 전원 귀국 시 사실상 ‘사업 철수’

기사승인 2021-04-16 15:16:30
쿠데타에 반발하고 있는 미얀마 시위대. 사진=연합뉴스반발하고 있는 미얀마 시위대. 사진=연합뉴스

[쿠키뉴스] 김동운 기자 = 지난 2월 발생한 미얀마 쿠데타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미얀마 현지에 진출한 금융사들이 한국인 직원들을 입국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전원 귀국의 경우 사실상 현지 철수와 동일하다 보니 대부분의 금융사들이 최소한의 인원만큼은 남겨놓고 있는 상황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미얀마 쿠데타가 발생한 이후 유혈사태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면서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금융사들이 일부 주재원들을 귀국시키고 있다. 4월 기준 신한·KB국민은행을 비롯해 우리·신한카드, DB손해보험, BNK캐피탈 등 총 25개 국내 금융사가 미얀마에 현지법인, 지점, 사무소 등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KB국민은행은 미얀마에 근무 중인 현지 직원 8명 중 필수 인원을 제외한 4명을 일시 귀국시키기로 결정했다. 현재 KB국민은행은 KB미얀마은행에 4명, KB 소액대출법인(MFI)에 4명의 주재원을 파견 중이며, 현지 직원을 포함하면 총 38명이 근무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현지 직원이 출퇴근 전용 차량을 이용해 귀가하던 중 미얀마 군경으로부터 피격, 사망한 사건을 겪은 신한은행의 경우 3명의 주재원 가운데 한 명을 임시로 귀국시키기로 했다. 나머지 두 명의 직원은 미얀마 내에서 재택근무를 이어간다. 현재 신한은행 양곤지점에는 주재원 3명을 포함해 현지 직원 32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외에도 한국인 직원 4명이 파견나가 있는 우리은행은 법인 주재원 1명과 모든 파견자의 가족들을 철수하기로 결정했으며, NH농협은행도 주재원 3명 중 1명을 귀국시킨다는 방침이다.

지난 2017년 출범한 KB마이크로파이낸스미얀마(KB미얀마법인) 양곤 1호점. 사진=KB국민은행

은행 다음으로 미얀마에 적극적으로 진출한 카드업계도 ‘비상’이 걸린 상태다.  현재 미얀마에 진출해 있거나 진출을 추진 중인 카드사는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 우리카드 등 은행계열 카드사 3곳으로, 대부분 ‘마이크로파이낸스(소액신용)’ 사업을 위해 현지 영업점을 운영하고 있다.

미얀마에 진출한 여신금융전문회사(여전사)들은 대부분 신규 영업을 중단하고 비상근무에 들어간 상황이라고 입을 모았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미얀마) 현지에 국내 직원 3명을 파견했는데, 이들과 현지 직원들 전원을 재택근무로 전환하고 있다”며 “직원들의 안전을 최우선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카드가 미얀마 현지 법인으로 설립한 ‘투투파이낸스’의 경우 미얀마 북부에 위치한 제2도시 만달레이에 거점을 두고 있어 상대적으로 시위 중심권에서는 떨어져 있는 상태다. 우리카드는 최근 쿠데타 시위가 격화되는 만큼 필수 인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 직원들을 재택근무로 전환하겠다는 지침을 내놨다. 다만 주재원 3명은 필수인력인 만큼 정상출근을 진행한다.

이외에도 JB우리캐피탈은 총 3명의 주재원 중 중 필수인력 1명을 남겨놓고 2명을 입국 조치 했으며, 미얀마에 머물고 있는 주재원과 한국에 있는 주재원을 교대할 방침을 검토하고 있다. BNK캐피탈의 경우 아직 주재원 철수를 계획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현지 직원과 주재원 모두 재택근무 체제로 전환시켰다.

한편, 미얀마 사태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는 상황에서도 한국인 주재원 전원을 귀국시키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금융권 관계자들의 의견이다. 주재원 전원을 귀국 조치시키는 것은 사실상 영업을 아예 철수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동남아의 경우 사업 철수 이후 재진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압박이 금융사들에게 전달되고 있다”며 “현지 진출을 위해 대부분의 금융사들이 큰 공을 들여온 만큼 철수와 같은 제스쳐인 주재원 전원 귀국만큼은 최대한 피하려고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어디까지나 중요한 것은 직원들의 안전인 만큼, 현지 사태가 더 악화될 경우 사업 철수를 통해서라도 전원 귀국 조치를 염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