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8일 (목)
살고 싶은 섬, 물메기 섬 통영 ‘추도’와 갯장어 섬 고성 ‘와도’

살고 싶은 섬, 물메기 섬 통영 ‘추도’와 갯장어 섬 고성 ‘와도’

기사승인 2021-06-15 15:45:34 업데이트 2021-11-17 11:25:53
[통영=쿠키뉴스] 최일생 기자 = 경남 통영 추도와 고성 와도가 2022년 ‘살고 싶은 섬’ 가꾸기 공모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통영시 산양읍에 속한 추도는 2개 마을에 140여명의 주민이 산다. 물메기 주산지로 알려진 섬으로 광역상수도와 전기가 들어가지 않아 간이상수도와 자가 발전소를 운용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섬으로 이주한 귀도인이 늘어나 폐촌이 부활했다.

최일생 기자
k7554@kukinews.com

특히 주민들의 마을청소, 특용작물 시범재배 도전 등 마을 공동체 활동이 활발하다.

통영 두미도에는 유휴건물을 새단장(리모델링)해 섬택근무(스마트워크센터) 사무실을 개소하고 전국 최초로 공공기관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직원들이 섬에서의 근무를 시작했다.

누운 섬, 고성 와도는 호수같이 맑은 자란만에 위치한, 갯장어가 많이 잡히는 작은 섬이다.

오가는 정기 도선도 없는 열악한 상황에서 주민들은 섬의 곳곳을 청소하고, 마을 곳곳에 꽃을 심고, 편백나무 숲을 조성하며 마을을 가꾸었다.

이번 공모사업에는 도내 4개 시·군 12개 섬이 신청해, 통영시 추도, 연화도, 용호도, 한산도, 거제시 지심도, 고성군 와도 등 6개 섬이 경상남도 섬발전자문위원회의 1차 서면평가를 통과했다. 6월 2~3일 양일간 현장평가를 거쳐 통영 추도와 고성 와도가 최종 선정됐다.


경남도의 ‘살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은 지난해부터 시작한 주민주도의 섬 재생사업이다.

매년 2개 섬을 선정해 3년간 각 30억원(도비 15억, 시·군비 15억)을 투입해 마을공동체 활성화, 주민 소득 증대 및 생태 여행지 조성 등을 통해 주민들과 방문객들이 살고 싶고 머물고 싶은 섬으로 조성한다.

이번에 선정된 추도와 와도에 대한 사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하반기부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투입, 섬 고유의 자원 조사는 물론 섬 주민들과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주민 주도형 섬 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한편, 경남도는 지난해 2021년 ‘살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통영 두미도와 남해 조․호도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세부사업을 본격 추진 중이다.

k7554@kukinews.com
최일생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체 불가’ 이혜영처럼”…목표 이룬 김성철의 다음 스텝

“연기라는 것이 얼굴도 중요하고 목소리도 중요하지만요. 배우에게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누구나 대체 불가이길 원할 거예요. 저도 마찬가지예요. (이혜영) 선생님 에너지는 고유하잖아요. 대체 불가죠.”무대부터 매체까지 영역을 가리지 않고 활약해 온 배우 김성철이 또 다른 목표를 세웠다. 지난달 28일 서울 소격동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롤모델로 영화 ‘파과’를 함께한 이혜영을 꼽으며, 이같이 밝혔다.&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