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8일 (목)
카카오‧네이버서 내 건강기록 확인…‘나의건강기록’ 앱 개선 협력

카카오‧네이버서 내 건강기록 확인…‘나의건강기록’ 앱 개선 협력

기사승인 2021-06-30 16:53:30
사진 왼쪽부터 카카오 신정환 CTO, 보건복지부 이강호 보건산업정책국장,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임근찬 원장, 네이버 유봉석 서비스 총괄(사진제공=네이버‧카카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카카오, 네이버는 30일 ‘나의건강기록'앱 편의성 개선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오는 9월부터 카카오톡 지갑 내 카카오 인증서로 ‘나의건강기록'앱에 로그인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의 경우 ‘네이버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해 ‘나의건강기록’ 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는 ‘나의건강기록’ 앱에서 공공기관에서 보유 중인 개인의 건강정보를 스마트폰에서 조회, 저장, 활용할 수 있다. 병원 진료이력과 건강검진(국민건강보험공단), 투약이력(건강보험심사평가원), 예방접종이력(질병관리청) 등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건강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날 협약 당사자들은 앞으로도 보안관리와 각 기관 발전과 우호 증진을 위해 상호 협력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 앱은 현재 안드로이드만 제공되면 연내에 아이폰용(iOS) 앱도 개발할 예정이다.

복지부 이강호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번 업무 협약을 계기로 국민들에게 익숙한 민간서비스를 공공서비스에 접목함으로써, 국민이 보다 편리하게 공공기관 건강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개인 주도로 공공기관 건강정보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진료기록, 라이프로그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 기반 의료 마이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2022년까지 차질 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임근찬 원장은 “오늘 협약을 통해 ‘나의건강기록’ 앱을 국민들이 보다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상호협력을 통해 국민의 건강증진과 보건의료 기술 발전에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네이버 유봉석 서비스운영총괄은 “생활밀착형 서비스로 자리매김한 ‘네이버 인증서’를 바탕으로 네이버는 앞으로도 국민 건강 증진 및 의료서비스 혁신을 위해 다양한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과 협업하겠다”고 말했다.

카카오 신정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카카오 인증서가 국민의 건강관리 편의성을 높이고 건강정보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의료정보원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체 불가’ 이혜영처럼”…목표 이룬 김성철의 다음 스텝

“연기라는 것이 얼굴도 중요하고 목소리도 중요하지만요. 배우에게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누구나 대체 불가이길 원할 거예요. 저도 마찬가지예요. (이혜영) 선생님 에너지는 고유하잖아요. 대체 불가죠.”무대부터 매체까지 영역을 가리지 않고 활약해 온 배우 김성철이 또 다른 목표를 세웠다. 지난달 28일 서울 소격동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롤모델로 영화 ‘파과’를 함께한 이혜영을 꼽으며, 이같이 밝혔다.&ls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