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김동운 기자 = 금융당국이 법정최고금리 인하 등으로 높아지고 있는 서민금융 절벽 해결을 위해 추진중인 ‘대환대출 서비스’를 두고 금융권과 핀테크 간 갈등이 커지고 있다. 현재 금융당국은 예정대로 하반기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금융사들은 핀테크 플랫폼에 종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7일 은행연합회를 비롯한 금융협회, 주요 금융사들과 TF를 개설하고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핀테크 업체의 조건을 정하는 협의체 구성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했다.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할 핀테크 업체는 금융위원회가 혁신금융으로 지정한 대출비교서비스를 운영 중인 12곳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으로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 NHN페이코 등과 같이 빅테크 플랫폼과 핀다, 핀셋 등 핀테크 업체들이 있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금융 소비자가 은행, 보험 등 여러 금융기관의 대출금리를 한 눈에 비교하고 금리가 낮은 곳으로 바꿀 수 있는 서비스다. 특히 대환대출 플랫폼은 금융당국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대환대출을 통해 대출 선택지를 넓히고 가계대출을 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만들어 이자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시중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등 금융사들이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대환대출의 취지 자체는 공감하지만 핀테크 업권 중심으로 구성되는 플랫폼 방식은 동의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금융소비자 입장에선 많은 금융사들의 대출조건을 한번에 확인하고 갈아탈 수 있다. 금융사들 입장에서도 다양한 차주들이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대환대출에 들어가는 각종 부대비용들을 절감할 수 있고, 남은 여력을 대출 금리 인하를 진행하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금융사들은 핀테크 업체가 운영중인 대출 비교 서비스 등을 통해 수수료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대환대출 플랫폼을 통해 핀테크 업체에 또 수수료를 지급하게 되면 이중 지급이 된다고 반발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미 대환대출 사업은 핀테크 업체들이 운영하고 있는 비대면 플랫폼이 선점하고 있어 핀테크 업체들이 ‘갑’의 위치에 있다”며 “이미 기존 대환플랫폼 참여를 위해 수수료를 지급하고 있는데 또 다시 공공 플랫폼을 위해 수수료를 내는 것은 금융사들에게 지나친 부담”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환대출 서비스의 장점은 비용절감을 통한 낮은 금리를 수요자에게 공급하는 것인데, 수수료 책정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사실상 비용절감은 어렵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같은 금융사들의 불만에 대해 금융당국은 금융권이 자체적으로 공동 플랫폼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금융사들이 우려하는 수수료와 관련, 핀테크 대환대출 플랫폼 인허가 시 수수료율을 주요 평가항목에 넣기로 했다. 또한 어떤 플랫폼을 선정해서 연결할지도 금융사에 맡겼다. 단 독점 등을 방지하기 위해 2개 이상 복수의 플랫폼에 들어가도록 했다.
chobits309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