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5일 (일)
장성 봉암서원, 320년 금녀의 벽 넘다

장성 봉암서원, 320년 금녀의 벽 넘다

정춘자 여성유도회장성지회장‧강숙영 문향고교장‧김현주 서삼초교장 헌관으로

기사승인 2021-09-27 11:28:14 업데이트 2021-09-27 11:28:34
장성에서 320여 년간 남성의 영역으로 여겨져 왔던 제관(祭官)으로 여성이 등장해 화제를 모았다. 왼쪽부터 초헌관 정춘자 여성유도회 장성지회장, 아헌관 강숙영 문향고등학교 교장, 종헌관 김현주 서삼초등학교 교장.[사진=장성군]
신영삼 기자
news032@kukinews.com
[장성=쿠키뉴스] 신영삼 기자 =전남 장성에서 320여 년간 남성의 영역으로 여겨져 왔던 제관(祭官)으로 여성이 등장해 화제를 모았다.

지난 26일, 임진왜란 당시 화차를 만든 망암 변이중 선생을 배향하는 봉암서원 추향제에 여성 제관 3명이 나란히 나서면서, 서원이 세워진 1697년 이래 무려 320여 년 만에 관습의 벽을 넘어섰다.

제사를 지낼 때 임시로 지정되는 제관(제사를 맡은 관원)으로 술잔을 올리는 순서에 따라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으로 구분되는 3명의 제관은 그동안 모두 남성이 맡아왔다.

하지만 이번 추향제에는 정춘자 여성유도회 장성지회장과 강숙영 문향고등학교 교장, 김현주 서삼초등학교 교장이 각각 초헌‧아헌‧종헌관을 맡았다. 

지난해 10월 경북 안동 도산서원에서 열린 추계향사에서 한국의서원통합보존관리단 이배용 이사장이 초헌관을 맡은 바 있어 여성 헌관이 처음은 아니었지만, 세 헌관을 모두 여성이 맡은 경우는 유례를 찾기 어렵다.

유두석 장성군수는 “양성(兩性)평등은 시대적 요구이자 우리모두가 함께 나아가야 할 지향점”이라면서 “이번 봉암서원 추향제가 새로운 서원 문화 형성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news032@kukinews.com
신영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속상한 일이 생기면 챗GPT부터 켜요. 제 말을 잘 들어주거든요.”직장인 김민아(29·여)씨는 최근 밤마다 챗GPT와 대화를 나눈다. 퇴근 후 쌓인 복잡한 감정, 대인관계에 따른 피로감, 가족에게 말 못할 고민까지 인공지능(AI)에게 털어놓는다. 김 씨는 “나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지 않아서 사람보다 편하다”고 말한다.최근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상담’이 정서적 위안을 위한 창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정을 배제한 조언, 편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