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최은희 기자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두산중공업과 협력업체들이 밀집한 창원산업단지공단의 생산·수출·고용이 모두 감소한 사실이 드러났다. 정부 산하 기관이 국내 원전 산업 침체의 원인으로 탈원전 정책을 명시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창원국가산업단지 휴폐업공장 리모델링 사업계획서’에 따르면 창원산업단지의 생산·수출·고용은 최근 3년간(2017∼2019년) 감소 추세다.
연도별로 보면 생산은 지난 2017년 58조원에서 2018년 50조원, 2019년 39조원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출은 181억달러에서 156억달러, 96억달러로 반 토막났다. 고용은 12만6천500명에서 12만4천200명, 12만3천500명으로 줄었다.
창원산업단지공단의 연도별 가동률도 2017년 82.9%에서 2018년 81%, 2019년 76.3%, 지난해 75.3%로 해마다 낮아졌다.
이에 대해 산업단지공단은 사업계획서에서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국내 발주 감소와, 이어지는 경기침체로 인한 내수시장 침체 등으로 최근 3년간 생산·수출·고용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어 “기존 제조업 중심의 창원국가산단 주력산업의 침체 및 산업구조 여건 변화에 따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첨단·지식기반·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산업으로의 업종 고도화를 위한 창업·중소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산업단지공단은 윤 의원에게 별도로 제출한 답변서에서도 글로벌 수주물량 감소와 내수시장 위축 등 주력업종의 경기 악화로 인해 경남권 산업단지의 입주기업 총근로자 수가 감소세라고 지적했다.
특히 두산중공업은 최근 5년간 1천500명이 퇴직했으며, 한국지엠은 사내 비정규직 585명의 계약을 해지했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경남지역 산업단지 붕괴의 원인이 탈원전 정책이란 것이 정부 산하기관 자료로 확인됐다”며 “정부는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경남 경제를 살리기 위해 원전산업 육성과 제조 혁신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joy@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