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
[단독] 尹 캠프 “김종인에 예우 충분히 해줬다…대체 카드 3~4배수 준비”

[단독] 尹 캠프 “김종인에 예우 충분히 해줬다…대체 카드 3~4배수 준비”

김종인 전 위원장 총괄선대위원장 추대 주말이 분수령
윤 후보 측 핵심 “닥치고 정권교체할 킹메이커 확보… 선대위 주말 발표”

기사승인 2021-11-18 15:51:02 업데이트 2022-01-02 17:52:37
김종인 출판기념회에서 축사하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연합뉴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반문(反문재인) 집합소처럼 된다면 2020년 총선의 재판이 될 수도 있다.”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

“기구를 만들어 놓고 몇 사람 들어간다고 국민통합 되는 게 아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영입 추진에 이준석 대표와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반대 입장을 연일 밝히고 있다.

윤 후보와 이 대표는 선대위를 둘러싼 힘겨루기는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실상은 김종인-이준석 연대와 윤 후보 측과의 선대위 영입 인사 갈등이 폭발 일보 직전까지 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이양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공지를 통해 “윤 후보는 김 전 위원장을 만나 선대위 구성과 관련한 논의를 했다”며 “중요 직책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지만 이 대표는 지난 17일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국민통합을 진행한다 하더라도 콘셉트가 잘 잡혀야지 국민들에게 효과가 있는 것이다. 반문(反문재인) 집합소처럼 된다면 2020년 총선의 재판이 될 수도 있다”고 김종인 원톱 체제를 고수하는 발언을 이어 갔다.

김종인 전 위원장도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통합을 실질적으로 하려면 내용이 있어야 한다. 기구를 만들어 놓고 몇 사람 들어간다고 국민통합 되는 게 아니다. 괜히 그런 건 국민에게 빈축만 사지 효과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윤 후보 측 핵심 정무 관계자에 따르면 김종인 전 위원장에게 할 만큼 예우를 충분히 해줬다는 내부 분위기가 모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김 전 위원장에 대한 영입 대신 다른 인물로 총괄선대위원장을 영입할 수 있다는 분위기라는 것이다.

이 핵심 관계자는 18일 “지금 윤 후보 지지 여론 형성에 김 전 위원장의 역할은 1%도 없다는 평가”라며 “정권교체가 목적인지 자신의 권력 탐욕이 목적인지 지금으로서는 후자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당 외연을 확장시키고 중도세를 키우기 위한 윤 후보의 노력을 지금 김 전 위원장이 뭉개고 있다는 내부 평가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한길 전 대표의 영입문제는 민주당이 긴장할 만큼 획기적 카드이다. 그런데 김 전 위원장은 선대위와 상관없는 것까지 문제를 삼고 있다. 이것을 언제까지 그냥 두고 볼 생각은 없다”며 “이번 주를 기점으로 김 전 위원장의 결정에 따라 함께 할 수도, 김 전 위원장 없이 갈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 관계자는 “김한길, 김병준 카드에 대해 한 치의 양보 의사도 없다”며 “김 전 비대위원장의 개인적 몽니에 정권교체의 열망을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 이번 주까지 김 전 비대위원장의 결정을 기다릴 예정이다. 김 전 비대위원장의 결정과 상관없이 총괄 선대위원장 자리를 비워 둔 채 선대위 구성을 주말에 발표할 예정이다. 김 전 비대위원장이 합류를 하지 않을 경우 전직 총리 출신 등 총괄 선대위원장에 영입할 인사들을 3~4배수로 해서 준비해 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윤 후보 측은 ‘닥치고 정권교체’를 이룩할 수 있는 좋은 킹메이커들을 확보해 놓고 있다”며 “더 이상 기존의 소수 몇몇 사람들의 특정한 정치적 이해관계 속에서 움직이는 캠프가 되어서는 안된다. 염불에 집중해야 할 타임에 잿밥에 눈이 어두워 밥상 걷어차는 이상한 일을 하면 이는 국민과 싸우는 것이고 역사를 망치는 분탕질이다. 이제 후보를 중심으로 일치단결해 일사분란하게 정권교체를 위한 미래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자연이 교과서, 미래가 교실…양천구 ‘그린스쿨링’ 실험

“멸종위기 생물 손수건 만들기 체험을 하면서 멸종위기 동물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됐어요. 지구를 지키기 위해 재활용을 더 열심히 할 거예요” (길산초 6학년 김모양)기후위기 시대, 미래세대가 마주할 환경 문제를 교실 밖으로 끌어내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16일 서울 양천구청 일대에서 열린 ‘Y교육박람회 2025’ 현장. 쏟아지는 소나기도 아이들의 호기심을 꺾지는 못했다. 학생들은 이른 오후까지 이어진 빗줄기에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