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5일 (월)
‘모발 성장’ ‘탈모 예방’ 허위광고 대거 적발

‘모발 성장’ ‘탈모 예방’ 허위광고 대거 적발

기사승인 2022-06-02 09:48:54
화장품의 효과를 과장해 의약품인 것처럼 광고한 사례. 식품의약품안전처
한성주 기자
castleowner@kukinews.com

탈모 치료제를 온란인에서 불법 판매하고, 화장품을 탈모 예방 효과가 있는 것처럼 허위 광고한 업체들이 적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 관심이 높은 ‘탈모 치료·예방’ 관련 제품을 불법으로 유통·판매하거나 허위·과대광고한 누리집 257건을 적발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접속차단을 요청하고, 관할 지자체 등에 점검을 실시하도록 요청했다고 2일 밝혔다. 

주요 적발 사례는 △(의약품 분야) 탈모 치료 의약품 온라인 불법판매, 불법판매 알선 광고 133건 △(의료기기 분야) 공산품을 탈모 치료․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의료기기처럼 오인 광고 60건 △(화장품 분야) 탈모 치료‧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의약품처럼 오인 광고, 기능성화장품 심사 결과와 다른 내용의 광고 64건 등이다.

식약처는 의료계·소비자단체·학계 등 전문가로 구성된 ‘민간광고검증단’에 이번 점검 결과와 탈모 치료·예방으로 광고·판매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의견, 소비자의 올바른 선택·사용방법 등에 대해 자문했다.

민간광고검증단은 식약처 예규 민간광고검증단 운영 규정에 따라 식품·의료제품의 질병 치료·예방 부당 광고, 소비자 오인 혼동 광고 등의 적절성 여부를 과학적·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의사·교수 등 전문가로 구성, 운영된다.

민간광고검증단은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의약품은 안전성과 효과성이 검증되지 않은 불법 제품으로 절대 구매·복용하면 안되며, 복용 시 성기능장애 등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의료진의 처방과 관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아울러 의료기기로 허가받지 않은 공산품은 탈모 치료·예방 등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없으며, 과도한 사용 시 피부 손상·화상 등의 부작용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장품의 경우, 질병을 치료하는 의약품이 아니기에 탈모 치료·예방 효과는 담보할 수 없으며, 의학적 효능·효과가 있다고 광고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의약품은 반드시 병원과 약국을 방문해 의사의 처방, 약사의 조제·복약지도에 따라 정해진 용량·용법과 주의사항 따라 복용해야 한다. 식약처는 절대로 의약품을 온라인에서 구매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

의료기기는 구매 시 ‘의료기기’ 표시, 허가번호 등 표시사항을 확인하고, 허가된 사용 목적, 사용횟수, 시간 등을 사용 설명서에 안내된 내용을 준수해야 한다. 허가된 의료기기 정보는 의료기기전자민원창구, 의료기기정보포털 등에서 검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능성화장품의 경우에도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탈모를 치료·예방’하는 의학적 효능·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으므로, 허위·과대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 식약처의 설명이다. 기능성화장품 심사/보고 정보는 의약품안전나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 생활과 밀접한 제품에 대한 온라인상의 불법 유통·판매와 허위·과대광고 행위를 지속적으로 점검해, 국민이 안심하고 관련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성주 기자 castleowner@kukinews.com
한성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DDP에 펼쳐진 봄날의 동화…가족·어린이 몰려든 ‘환상의 성’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도심 속 테마파크’로 변신했다. 입구에 배치된 동화 속 장면을 모티브로 한 대형 구조물과 8m 규모 해치 애드벌룬은 ‘환상의 성’을 방불케 한다.지난 2일 방문한 DDP 행사장 곳곳은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부모들의 카메라 셔터 소리로 가득했다. 서울디자인재단이 가정의 달을 맞아 마련한 ‘DDP 봄축제’가 1일 본격적인 막을 올리면서, 유모차를 끄는 가족 단위 관람객들이 길게 줄을 섰다.어울림광장에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