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1일 (수)
‘신세계·이랜드 등 대격돌’ 대전시, 전통시장 활성화도 함께

‘신세계·이랜드 등 대격돌’ 대전시, 전통시장 활성화도 함께

기사승인 2022-07-10 16:40:01
NC대전유성점 외관. 사진=이랜드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대전이 유통업계 격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현재 대전에는 지난해 이후 롯데, 신세계, 한화갤러리아, 이랜드 등 주요 유통 대기업이 모두 출점해 있다. 대전시는 백화점뿐만 아니라 기존 전통시장과 골목시장의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 예산 56억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전이 유통업계 격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현재 대전에는 롯데, 신세계, 한화갤러리아, 이랜드 등 주요 유통 대기업이 모두 출점한 상황이다. 

기존에 있었던 롯데백화점과 한화갤러리아백화점 뿐만 아니라 최근 신세계, 이랜드그룹까지 경쟁이 합류했다. 유통 대기업이 모두 대전에 뛰어들자 업계에 따르면 생로랑·발렌시아가·구찌 등 명품 브랜드들과의 협업도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다.

대전은 교통, 상권 등 여러 부분에서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춘 지역으로 꼽힌다. 경부선 KTX와 SRT가 대전역에 모두 정차하고 서대전역을 통해 호남선의 주요 도시까지 접근이 용이해 호남 지역 고객까지 끌어 모을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신세계는 지난해 8월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를 개점했다. 2016년 12월 대구신세계 개점 후 5년 만의 신규 출점이다. 아트앤사이언스는 명품 브랜드를 내세워 지역 수요 공략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또한 다양한 체험형 콘텐츠 시설도 꾸렸다. 카이스트와 손잡고 만든 과학관 ‘신세계 넥스페리움’은 로봇, 바이오, 우주 등을 주제로 한 사립 과학 아카데미다.

이랜드는 지난 6월 아울렛 'NC대전유성점'을 열었다. 이랜드는 체험형 콘텐츠를 기존 아울렛 대비 30% 이상 늘렸다. 키즈카페와 복합문화공간 ‘휘게문고’ 등 체험형 콘텐츠를 입점시켜 가족 단위 고객을 타겟으로 포지셔닝 하겠다는 전략이다.

대전시청. 사진=연합뉴스

대전시는 백화점 소비 진작과 함께 전통시장 현대화 및 골목시장 활성화도 함께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시는 예산 56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대전시는 전통시장 내 공동 배달센터에 냉장·보관·포장 설비를 구축하고 화재 예방시설을 보강하고, 골목상권 특성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공동 마케팅도 지원한다. 참여를 원하는 전통시장·골목 상점가 등은 오는 29일까지 대전시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안세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2차전지株 ‘52주 최저가’ 행진, 반등 시점도 ‘묘연’

국내 2차전지 관련주들의 주가가 하락세다. 대표 종목들은 52주 최저가를 기록했다. 미국 하원의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를 담은 제안서 발표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증권가에서는 해당 제안서가 확정될 경우 2차전지 관련주들의 역성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본다.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국내 2차전지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12% 하락한 27만9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장중 52주 최저가인 27만8000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