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방송업계, 지상파 재송신료 정책에 속앓이

유료방송업계, 지상파 재송신료 정책에 속앓이

기사승인 2022-09-23 06:00:13

유료방송업계가 지상파 콘텐츠 재송신료(CPS) 계약을 앞두고 속앓이를 하고 있다.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득세로 수익이 위태로워졌는데 CPS 비용은 매년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IPTV와 케이블TV가 연내 CPS 신규 계약을 맺는다. 보통 연 단위로 계약하며 사업자간 자율이라 다년도 가능하다.

지상파 방송사와 유료방송사는 CPS로 묶인 갑을관계다. 케이블 TV나 위성방송은 가입자 당 CPS를 곱한 금액을 지상파 방송사에 납부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3563만7342명(6개월 평균)으로 상반기 대비 53만 명 증가했다.

CPS가 400원이라고 가정하면 이 기간 하반기 지상파 방송사가 벌어들인 금액은 142억5493만6800원이다. CPS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케이블 TV CPS는 2012년 280원 수준에서 지난해 약 450원으로 10년 동안 1.5배 이상 증가했다. 가입자가 늘어도 마냥 좋아할 수 없는 셈이다.

IPTV는 CPS 산정방식이 다르다. 과거 가입자 한 사람당 금액을 책정했다가 지금은 연간 총액에서 일부를 떼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유료방송사들은 불만을 토로한다. 지상파 방송사 영향력이 이전과 다른데 CPS를 높게 받는 건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1등 사업자를 기준으로 CPS를 강제하는 방식도 구설에 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지상파 방송사가 매년 상당 수준 인상률을 요구해온 건 사실”이라며 “프로그램 사용료 근간은 시청률인데 시청률이 갈수록 떨어지는 구조임에도 전년 기준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양측이 수긍할만한 합리적인 산식을 가지고 있기 보다는 광고 등 필요한 비용을 메우려는 전략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케이블 TV 관계자는 “지상파는 지난해부터 방송광고 중간광고도 풀리고 PPL(간접광고)도 풀려서 수익성은 안정을 이뤘다고 알고 있다”며 “케이블은 가입자도 뺏겨서 매출액도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존립자체가 불가능한데 콘텐츠 비용을 올려달라고 하니 곤란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방송통신위원회 ‘2020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를 보면 케이블방송 가입 가구 비율은 2018년 50.3%에서 2020년 41.7%로 감소 추세다.


CPS는 성역…정부도 관여 안 해

CPS는 민간 사업자끼리 맺는 자율 계약이다. 분쟁이 생긴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부도 직접 개입하지 않는다. 정부가 나서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달라고 업계는 요구한다.

업계 관계자는 “계약 관계에 있어서 우리는 열위에 있다. 출구 전략이 없다”며 “정부가 세팅을 해줘야 동등한 입장에서 협상이 될 거라고 계속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점유율, 시청률이 모두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CPS를 올려달라는 근거가 콘텐츠 제작비가 많이 들어서라는데 그것만으로는 납득하기 어렵다”고 속내를 비쳤다.

또 다른 관계자는 “양측이 합리적으로 인정할만한 대가 산정 방식 합의가 필요해보인다”고 강조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