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국내 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우려차주 10명 중 7~8명은 은행의 지원을 받아 연체 위기를 버텨낸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은 5만개가 넘는 계좌 차주를 대상으로 만기연장 및 장기분할상환 등을 지원했다. 다만 은행간 지원 실적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18일 쿠키뉴스가 김한규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15개 은행이 자체 분류한 신용대출 연체우려계좌는 7만3510계좌(1조2693억원)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74%(82%)에 달하는 5만4692계좌(1조420억원)가 ‘신용대출119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았다.
‘신용대출 119’ 프로그램은 연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신용등급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다중 채무 등이 발생한 만기도래 2개월내 연체우려 채무자를 은행이 선발하고, 안내․상담을 거쳐 만기연장 및 잔기분할상환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금리 인상기 서민‧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지난 2018년 도입된 제도다.
구체적으로 올해 상반기 5만2323계좌(9953억원)가 만기연장을 지원 받았다. 금리 인상과 경기 악화에 연체 위기에 놓인 차주의 3분 2가량이 만기연장을 지원받은 셈이다. 장기분할상환과 서민금융상품 전환은 각각 1555계좌(346억원)와 814계좌(121억원)에 대해 지원이 이뤄졌다. 정상 상환도 1만471계좌(966억원)에 달했으나 끝내 8347계좌(1307억원)는 연체에 빠졌다.
은행별 연체우려계좌 지원 비율을 살펴보면 은행별로 다소 차이가 벌어졌다. 5대 은행 중에는 우리은행의 지원 비율이 가장 높았다. 우리은행은 1만4599계좌(1870억원)를 연체우려로 분류해 1만2878계좌(1691억원)를 지원했다. 지원 비율이 88.2%에 달한다. 뒤이어 신한은행(88.2%), 농협은행(80.2%), 국민은행(72.1%) 순서를 보였다.
하나은행의 경우 8037계좌(904억원)를 연체우려로 분류해 3366계좌(507억원)를 지원하는데 그쳤다. 지원비율이 41.9%로, 여타 주요 은행의 절반 수준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이에 대해 “현재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며 “다른 지원 프로그램으로 지원이 분산된 결과 신용대출119 프로그램의 실적이 다소 적게 나온 것”이라고 해명했다.
특수 및 지방은행의 경우 경남은행의 지원 비율이 두드러졌다. 경남은행은 4156계좌(876억원)를 연체우려로 분류하고, 이 가운데 88.7%인 3688계좌(812억원)를 지원했다. 나머지 은행은 수협(82.2%), 기업(76.3%), 대구(66.8%), 부산(66.2%), 광주(48.4%), 전북(35.1%), 제주(16.7%) 순이다. 5대 은행과 비교했을 때 전체적으로 지방은행의 지원 비율이 다소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은행의 지원 비율은 연체 발생율과 직결됐다. 지원 비율이 낮은 은행은 연체율도 높았다. 연체우려계좌 가운데 실제 연체가 발생한 비율은 전북은행(43.9%)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제주은행(33.3%), 하나은행(27.9%) 순이다.
김한규 의원은 "올해 대출금리가 추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취약차주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시중 은행들도 취약차주 보호 프로그램을 좀 더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