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생산자물가가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전기요금이 43년 만에 최대폭으로 오르며 생산자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생산자물가는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물가 상승이 예상된다. 특히 물가 상승은 향후 금리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29(2015년 100기준)로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5.1% 올랐다. 11월과 12월 전월 대비 각각 0.3%, 0.4% 떨어지던 생산자물가가 3개월만에 다시 오름세로 전환했다.
한은은 생산자 물가 상승의 원인을 “연료비, 기후환경 비용 상승을 반영한 전기요금 인상 영향”이라고 꼽았다. 품목별로 보면 공산품은 전월보다 0.1% 내렸지만 농림수산품이 0.6% 오르며 생산자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특히 농산물이 4.9% 크게 올랐는데 이는 전기요금 상승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실제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은 전월 대비 4.0%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0월(8.1%)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특히 전력은 약 43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인 10.9% 급등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0.2% 상승했고, 전년 동월 대비 3.0% 올랐다. 식료품은 전월 대비 0.8% 상승했고, 신선식품은 전월 대비 7.4% 올랐다. 에너지는 전월 대비 2.3% 상승했고 IT는 보합세를 보였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로 활용한다. 생산자물가는 통상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지만 앞서 한은의 조사에서 시차를 두지 않고 곧바로 전가 된다는 결과도 나온 바 있다.
물가 상승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압력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23일 기준금리를 동결한 한은이 이후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23년 기준금리 예측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상과 국내 물가 불안으로 국내 금리의 인상 압박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러며서 현재 3.5%인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물가 압박으로 연말 3.75∼4.0%까지 오를 수 있다는 예측을 내놓았다.
한경연에 따르면 둔화세를 보였던 미국의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의 지난달 상승 폭이 다시 커지면서 연준의 금리 인상이 종료되는 최종 금리수준이 올라갈 가능성이 커졌다. 여기에 국내 소비자물가가 올해 1월 5.2%라는 큰 상승 폭을 보였고, 농산물·석유류 등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근원물가도 작년 8월 4.4% 이후 5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물가부담과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국내 금리 인상 압력이 높아진 상황이어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운용에 어려움이 많다”면서 “경쟁국의 금리인상 여부와 국내 경제 상황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신중한 금리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만 한은은 올해 물가가 일정 수준에서 잡힐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은은 23일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5%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제시한 3.6%에서 0.1%p 하향 조정한 수치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