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4일 (토)
한은의 희망적 관측…“물가인상률 둔화흐름 이어갈 것”

한은의 희망적 관측…“물가인상률 둔화흐름 이어갈 것”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4.2%…지난해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

기사승인 2023-04-04 10:58:50
쿠키뉴스DB.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둔화 흐름이 지속될 것이란 희망적인 관측을 내놓았다. 다만 국제유가와 공공요금 인상 등 물가 경로에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행은 4일 오전 김웅 부총재보 주재로 열린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최근 물가 상황과 향후 물가 흐름을 점검했다. 이날 통계청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기 대비 4.2%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상승 폭은 지난해 3월(4.1%)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점차 하향세를 그리고 있다. 1월 5.2%에서 2월 4.8%, 3월 4.2%로 조금씩 낮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2월 전망 당시 예상대로 상당 폭 낮아졌다”며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전월 수준을 유지하며 지난해 말 이후 더딘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56(2020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2% 올랐다. 

지난달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4.8% 올랐다. 전월(4.8%)과 같은 수치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4.0%를 기록해 역시 전월(4.0%)과 같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김 부총재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큰 폭 상승에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올해 중반까지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근원물가 상승률도 점차 낮아지겠으나 둔화 속도는 소비자물가에 비해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향후 물가 경로상에는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공공요금 인상 폭 및 시기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쇼메이커’ 허수 “그동안 갈피 못 잡았다…이젠 앞으로 나아갈 것”

‘쇼메이커’ 허수가 최근 부진을 발판 삼아 더 발전하겠다고 강조했다.디플러스 기아는 24일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2라운드 한화생명e스포츠와 경기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세트스코어 2-1로 승리했다. 업셋을 일으킨 디플러스 기아는 시즌 8승(8패)째를 신고하며 4위권 그룹과 경기 차를 0.5경기로 줄였다.경기 후 쿠키뉴스와 만난 허수는 “‘제우스’ 최우제를 최대한 견제하려 했다.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