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7일 (수)
與 윤리위, 김재원 당원권 정지 1년·태영호 3개월

與 윤리위, 김재원 당원권 정지 1년·태영호 3개월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언행”
김재원, 징계 경감 없으면 차기 총선 출마 불투명

기사승인 2023-05-10 22:43:22 업데이트 2023-05-10 22:45:40
황정근 국민의힘 윤리위원장이 10일 국민의힘 당사에서 윤리위 회의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윤상호 기자
윤상호 기자
sangho@kukinews.com

국민의힘 윤리위원회가 김재원 최고위원과 태영호 전 최고위원에게 각각 당원권 정지 1년과 3개월 징계를 내렸다.

황정근 국민의힘 윤리위원장은 10일 국민의힘 당사에서 윤리위가 끝나고 기자들을 만나 “김 최고위원은 윤리위 징계사유인 당 강령에 따라야 한다는 윤리규칙을 위반했다”며 “당원은 사리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는 규칙,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언행을 해선 안 된다는 규칙 등도 위반해 징계 사유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태 전 최고위원은 당에 지극히 유해한 행위를 했을 때의 징계사유와 국민정서에 동떨어진 언행을 했을 때의 징계사유에 해당한다”며 “또 당 발전에 지장을 초래하고 그 행위의 결과가 민심을 이탈하게 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치인은 말을 통해서 자신의 자질과 역량, 인품을 드러낸다고 생각한다”며 “최고위원이면 높은 품격을 갖추고 일반 국민의 건전한 상식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 다음 총선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태 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직 사퇴의사를 표명했다. 그는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모든 논란은 내 책임”이라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자진사퇴와 관련해 별다른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태 전 최고위원이 최고위원직에서 사퇴함에 따라 당 지도부의 선출직 최고위원은 한 자리가 공석 상태가 됐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선출직 최고위원 궐위 시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전국위원회에서 최고위원을 선출해야 한다. 선출직 최고위원 및 청년 최고위원 4인 이상 사퇴 등의 궐위가 있을 시 비대위 체제로 변경된다.

또 김 최고위원은 당원권 정지 1년을 받으면서 차기 총선 출마 가능성이 불투명해졌다. 징계에 대한 경감조치가 없다면 추후 국민의힘 당적으로 총선 출마를 하기 어렵다. 김 최고위원은 윤리위 결과가 나온 직후 페이스북에 “지지한 당원과 국민에게 송구스럽다”며 “앞으로도 우리 당과 나라에 보탬이 되는 일을 찾아 계속하겠다”고 적었다.

한편 김 최고위원은 ‘5.18 정신 비난’, ‘전광훈 천하통일 발언’, ‘4.3 추모일 비하 발언’ 등을 해 윤리위에 회부됐다. 태 전 최고위원은 ‘제주 4.3은 북한 김일성 지시 발언’과 ‘민주당 JMS(Junk‧Money‧Sex) 관련 페이스북 게시글’,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 관련 녹취록 유출 파문’ 등을 해 윤리위 징계를 받았다.

윤상호 기자 sangho@kukinews.com

윤상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체 불가’ 이혜영처럼”…목표 이룬 김성철의 다음 스텝

“연기라는 것이 얼굴도 중요하고 목소리도 중요하지만요. 배우에게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누구나 대체 불가이길 원할 거예요. 저도 마찬가지예요. (이혜영) 선생님 에너지는 고유하잖아요. 대체 불가죠.”무대부터 매체까지 영역을 가리지 않고 활약해 온 배우 김성철이 또 다른 목표를 세웠다. 지난달 28일 서울 소격동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롤모델로 영화 ‘파과’를 함께한 이혜영을 꼽으며, 이같이 밝혔다.&ls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