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 다니는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비율이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 부담에 맞벌이를 포기한 사례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2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근로연령층 사회적 위험의 경험과 대응의 격차’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8~17세 아동(취학아동)이 있는 부부가구 중 맞벌이인 비율은 2019년 상반기 65.9%에서 2020년 상반기 60.5%로 5.4%포인트(p) 감소했다.
이후 2021년도 상반기에는 59.3%로 더욱 감소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어 일상적 회복으로 접어드는 2022년 상반기까지도 59.7%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아동이 없는 부부 가구의 경우 맞벌이 비율의 변화가 코로나19 전후로 크지 않았다. 2019년 상반기 51.6%, 2020년 상반기 51.7%, 2021년 상반기 52.8%, 2022년 상반기 51.7% 수준을 보였다.
보고서는 “아동이 없는 부부가구의 경우와 맞벌이 비율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동이 있는 가구의 여성 고용률 변화가 크게 나타났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맞벌이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가구당 취업소득(근로·사업소득)도 줄어들었다. 8~17세 아동이 있는 부부가구의 평균 취업소득(월)은 2019년 상반기 314만원에서 2020년 상반기 304만원, 2021년 상반기 290만원으로 줄었다.
한부모 가족 역시 고용 변화로 인한 소득 감소를 나타냈다. 한부모 가족 등의 평균 취업소득(월)은 2019년 상반기 204만원, 2020년 184만원, 2021년 197만원 2022년 217만원이었다.
이런 상황의 배경에는 취학연령 아동의 돌봄 부담이 컸을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미취학연령 아동의 경우 긴급보육의 형태로 공적 보육 시스템이 작동한 반면 취학연령 아동의 경우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학습과 돌봄에 있어서 부모의 필요도가 더 컸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연령이 높은 여성은 상대적으로 일자리 질이 좋지 않다”면서 “코로나19의 위기가 노동시장의 이탈을 가속화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보고서는 “돌봄부담이 높은 상황에서 노동시장 위험을 막아줄 정책적 대응이 부재했다”면서 “현금성 지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돌봄 체계를 작동시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돌봄과 노동, 이중 위험에 노출되는 한부모가족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수미 기자 mi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