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3일 (토)
부산지역 소비자물가 전년 대비 4.1% 상승… 7개월만에 최고치

부산지역 소비자물가 전년 대비 4.1% 상승… 7개월만에 최고치

농산물·시내버스요금·전기료·신선식품 가격 크게 올라

기사승인 2023-11-03 08:43:22 업데이트 2023-11-13 11:13:22
동남지방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3년 10월 부산광역시 소비자물가 동향’ 자료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22(2020년 100 기준)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1% 상승했다.

 중동 리크스 확대로 국내외 유가의 변동성이 커진 데다 밥상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농산물 가격도 이상 기온 여파로 급등했기 때문이다.

10월 부산소비자 물가동향 (동남지방통계청 제공)
서영인 기자
igor_seo@kukinews.com

 
월간 기준 부산 소비자물가(이하 지수 기준)가 4%대 상승률을 기록한 것도 7개월 만이다.

 지난 9월 상승률(3.8%)과 비교하면 한 달 새 0.3%포인트 올랐다. 전국 상승률은 3.8%, 울산 경남은 각각 4.0%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지수 등락률의 최근 3개월간 동향을 살펴보면 올해 △7월 2.6% △8월 3.4% △9월 3.8%로 꾸준히 증가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2021년 10월(3.0%) 이후 계속 오르면서 지난해 7월 5.9%로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그러나 이달을 기점으로 점차 하락하다가 올해 7월(2.6%)부터 다시 오르는 모양새다.
 
 품목 성질별 동향 수치도 지난해 10월보다 전반적으로 모두 올랐는데 상품은 4.5%, 서비스는 3.6% 상승했다.

 특히 농산물이 11.0%로 크게 올랐으며 수산물은 0.8% 올랐다. 축산물은 0.7% 내렸다. 농·축·수산물의 전체 상승률은 5.6%다.

 채소·과일 등 신선식품(전년 동월 대비)은 △상추(39.4%) △사과(29.3%) △토마토(28.9%) △파(21.3%) △포도(18.5%) △귤(15.6%) 순으로 물가가 상승했다.

 공업제품은 3.8% 오른 가운데 가공식품이 5.1%, 내구재가 3.4% 올랐으며 석유류는 0.7% 내렸다.

  전기·가스·수도 요금도 8.8% 비싸졌다. 전기료가 14.0%, 도시가스가 5.5%, 지역난방비가 8.0%, 상수도료가 0.1% 올랐다.

 서비스 물가도 전체 3.6% 올랐는데, 집세가 0.2% 하락했으나 공공서비스가 3.5%, 개인서비스가 4.5%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도 지난해보다 4.7% 상승하며 물가고공행진을 주도했다.

 주로 △시내버스료(25.4%) △전기료(14.0%) △구내식당 식사비(12.8%) △휘발유(7.1%)가 상승 폭이 컸다.

 직전 달(9월)과 비교하면 △시내버스료(25.4%) △파(25.4%) △도시철도료(11.5%) △공동주택관리비(5.4%) 등이 올랐다.

부산=서영인 기자 igor_seo@kukinews.com
서영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85억원대 금융사고 터졌다…이번엔 KB국민·하나은행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에서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총 85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국민은행에선 21억원 가량의 사고 1건이, 하나은행에선 64억원에 이르는 3건의 사고가 터졌다.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외부인에 의한 사기로 20억7450만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전날 공시했다. 피해 금액은 20억7450만4000원으로 손실예상금액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금융사고 내용은 ‘외부인에 의한 사기’다. 부산 지역에서 대출사기 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