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7일 (수)
중소기업 기피 이유 ‘낮은 연봉’…대기업과 2배 격차

중소기업 기피 이유 ‘낮은 연봉’…대기업과 2배 격차

기사승인 2023-12-14 10:21:11
중소기업중앙회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

청년 구직자들 사이 낮은 임금을 이유로 중소기업 취업을 꺼리는 분위기가 여전한 가운데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 간 임금이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현상이 수년째 지속되고 있다.

14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20일∼11월 1일 청년 구직자 1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청년 구직자가 희망하는 월 급여는 평균 323만8000원이었다.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이 40.7%로 가장 많고 300만원 미만은 38.4%, 400만원 이상은 20.9%로 각각 나타났다.

최종 학력이 대졸 이상인 경우 400만원 이상 응답이 39.1%로 더 높고 희망하는 월 급여는 평균 366만2000원이었다.

직업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요소(복수 응답)가 급여 수준(47.4%)이었다. 중소기업 취업을 고려하지 않는 응답자(356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복수 응답) 낮은 연봉 수준(55.3%)이 압도적인 1위였다.

실제로 중소기업과 대기업 근로자 간 2배 이상의 임금 격차는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수치를 보면 2021년 기준 영리기업 중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월 266만원(세전 기준)으로 대기업(563만원)의 47.2%에 그쳤다.

중기중앙회 설문조사에서 청년 구직자들이 희망한 323만8000보다도 58만원(17.9%) 정도 적었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에는 대기업의 44.7%였고 이어 2017년 45.7%, 2018년 46.1%, 2019년 47.6%, 2020년 49.0%, 2021년 47.2% 등으로 50%를 계속 밑돌았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격차는 더 커졌다.

중소기업의 경우 20∼24세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월 157만원으로 대기업 동일 연령 근로자의 73.0%로 나타났으나 50∼54세 구간에서는 이 비율이 39.3%까지 떨어졌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들은 장기근속보다 임금 수준, 근로 조건 등을 더 따진다”며 “중소기업 사업주는 적정 수준 임금과 작업 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고 정부는 세제, 자금 지원 등으로 이를 뒷받침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
김한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국민의힘, ‘金 의총’ 참석 요청했지만…“시간 내기 어려워”

국민의힘이 김문수 후보에게 의원총회 참석을 요청했지만, 의견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김 후보측은 일정이 있다는 이유로 참석이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박형수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7일 김문수 캠프 앞에서 “김재원 김문수 후보 비서실장에게 통화했지만, 밖에 나갔다는 얘기를 했다. 그래서 총무실장에게 (김 후보 의총 참석을) 전달했다”고 밝혔다.그러나 김 후보의 국민의힘 의총 참석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박 부대표는 &ldqu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